|
|
|
상아젓가락이 나라를 망친다
- 한비자 제22편 설림(상)[11]-
은나라의 주왕이 상아젓가락을 만들자 기자가 그 결과를 두려워하며 말했다. “상아젓가락을 만들면 국을 담기 위해 흙으로 만든 오지그릇이 아닌 뿔이나 주옥으로 만든 그릇을 써야 할 것입니다. 주옥그릇이나 상아젓가락을 사용하게 되면 반찬은 콩이나 콩잎으로는 안 되고, 반드시 쇠고기나 코끼리고기나 표범고기를 차려 놓아야 할 것입니다. 그런 고기를 먹게 되면 짧은 털가죽 옷이나 초가집에서는 살 수 없는 노릇이니, 반드시 비단옷을 입어야 하고 고대광실에서 살아야 할 것입니다. 이와 같이 모든 것을 상아젓가락의 격에 맞추다 보면 천하의 재물을 모두 동원해도 모자랄 것입니다.” 성인은 하찮은 징조를 보고도 장차 발생할 사태를 알 수 있으며, 단서를 보고서 결과를 추측한다. 상아젓가락을 보고 결과를 두려워한 것은, 천하의 재물을 다 쏟아 넣어도 욕망은 충족시킬 수 없음을 알기 때문이다.
주공 단은 은나라를 쳐서 승리한 후 상나라와 개나라를 공격하려고 했다. 주나라의 대부 신공갑은 말리면서 말했다. “대국은 공격하기가 어렵고 소국은 쉬운 법입니다. 군소의 나라를 정복하여 그 세력으로 대국을 위협하는 것이 최상의 방책이라 생각됩니다.” 이 의견에 따라 주공은 구이를 공략하게 되었는데 그 위세를 두려워한 나머지 상나라와 개나라도 항복하고 말았다.
은나라 주왕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잔치를 벌여 환락에 빠져 있었기 때문에 오늘이 몇 일인지도 모르고 있었다. 좌우 신하에게 그것을 물어도 아무도 몰랐다. 그래서 사람을 시켜 기자에게 물어오게 했다. 기자가 자기 종에게 이렇게 말했다. “주왕께서는 천하의 군주이시면서 날짜를 모르고 있으니 장래가 걱정이 된다. 모든 사람이 그것을 모르고 있는 판에 나만이 알고 있다고 하면 내 자신이 위험해진다.” 그리고는 주왕의 사자에게「술에 취해 잊어버렸습니다」라고 말했다
- 韓非子 第22篇 說林(上)[11]- 紂爲象箸而箕子怖, 以爲象箸必不盛羹於土鉶, 則必犀玉之杯 玉杯象箸必不盛菽藿, 則必旄象豹胎 旄象豹胎必不衣短褐而舍茅茨之下, 則必錦衣九重, 高臺廣室也. 稱此以求, 則天下不足矣. 聖人見微以知萌, 見端以知末, 故見象箸而怖, 知天下不足也. 周公旦已勝殷, 將攻商蓋. 辛公甲曰:「大難攻, 小易服. 不如服衆小以劫大.」 乃攻九夷而商蓋服矣. 紂爲長夜之飮, 懼以失日, 問其左右, 盡不知也. 乃使人問箕子. 箕子謂其徒曰:「爲天下主而一國皆失日, 天下其危矣. 一國皆不知而我獨知之, 吾其危矣.」 辭以醉而不知.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