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한비자韓非子

하늘구경 

 

 

 

 

여러 사람의 말을 비교 검토하라


- 한비자 제30편 내저설(상) 칠술:참관[100]-


사람의 말을 관찰하고 받아들일 때, 단 한 사람의 말만 듣고 다른 사람의 말을 참작하지 않으면 진실은 군주의 귀에 들어가지 않는다. 군주가 신하의 말을 들을 경우 마치 집에 출입문이 하나밖에 없듯 하면 그 신하는 군주의 총명을 흐리게 하는 수가 있다.

이상에 대한 예로 난쟁이가 꿈에 아궁이를 보았다고 하여, 위나라 영공을 풍자한 것과 노나라의 애공이 많은 사람과 함께 꾀하면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여 공자에게 비난당한 일이 있다. 또 제나라 사람이 하백을 왕에게 보여준 일이나, 혜자가 군주가 일을 꾸밀 때는 진실을 말하는 신하와 허위를 말하는 신하가 제각기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니 그 때문에 절반을 잃게 된다고 하는 예들이 있다.

그 해독은 수우가 숙손자를 굶겨 죽인 일이나, 강을이「남의 나쁜 짓을 말하지 않는 풍속이 있었기 때문에 백공이 난을 일으킬 수 있었다」고 초나라 풍속을 논하였고, 위나라 사군이 나라를 다스리겠다면서 사람의 말들을 두루 참작하는 방법을 몰랐기 때문에 자기가 좋아하지 않은 백성이 그와 대립하는 인물과 결탁하게 만들어 결국 적을 만들었다는 일에서 엿볼 수 있다.

그래서 현명한 군주는 철판으로 담을 쌓아올려 화살을 막듯 신하를 의심하여 경계를 게을리 하지 않으며, 한 지역 사람들의 뜬소문에 미혹되기 쉬운 폐해를 주의해야 된다.


- 韓非子 第30篇 內儲說(上) 七術:參觀[100]-

觀聽不參則誠不聞, 聽有門戶則臣壅塞. 其說在侏儒之夢見竈, 哀公之稱「莫衆而迷」. 故齊人見河伯, 與惠子之言「亡其半」 也. 其患在豎牛之餓叔孫, 而江乙之說荊俗也. 嗣公欲治不知, 故使有敵, 是以明主推積鐵之類, 而察一巿之患.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