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한비자韓非子

하늘구경 

 

 

 

 

얻기는 쉬우나 쓰기는 어렵다


- 한비자 제37편 논난(2)[5]-


제나라 환공 때에 진나라에서 사신이 왔다. 한 관리가 접대하는 법을 물었다. 환공은 중부에게 물어보라고 세 번이나 일렀다. 그러자 광대가 웃으며 말했다.

“임금노릇은 참 쉽군요. 하나도 중부, 둘도 중부 하시니 말입니다.”

환공이 말했다.

“원래 군주는 사람을 찾는 데는 고생을 하지만 사람을 부리는데는 고생될 것이 없다고 한다. 나는 중부를 신하로 임명하는데 고생을 했다. 그러나 중부를 얻은 다음부터는 여간 편안한 것이 아니다.”

어떤 사람이 말했다.

“환공이 광대에게 대답한 것은 군주다운 말이 아니다. 환공은 사람을 구하는데 고생이 된다고 하였지만 그것이 어째서 고생이 된다는 말인가. 이윤은 요리사가 되어 탕왕을 섬기고자 소원했고, 백리해는 노예가 되어 목공을 섬기기를 소원했다. 노예는 누구나 수치스럽게 여기는 지위이며, 요리사도 마찬가지이다. 이 수치스러움을 견디며 군주에게 접근하려는 것은 현명한 자가 세상을 우려한 결과인 것이다. 그러므로 군주는 그러한 현자를 구태여 물리치지 않으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현자를 구하는 일은 결코 어려운 일이 못된다. 더욱이 관직은 현자를 임용하기 위한 것이며 작록은 공로에 대한 상으로서 있는 것이다. 관직을 설정하고 작록을 제시해 놓으면 훌륭한 사람은 누구나 스스로 접근해 오는 법이다. 그런데 사람을 구하기가 무엇이 어렵다는 말인가.

그러나 사람을 부리는 일은 쉽지 않다. 군주가 사람을 사용한다고는 하지만 그렇게 간단한 일이 아니며 반드시 법규를 가지고 다루어야 되고, 그의 언설과 행동을 비교 참작하고, 결과가 법에 따르도록 해야 하며, 법에 합당하지 않으면 제지해야 한다. 이와 같이 언설과 해 놓은 일을 비교 참작하는 것으로서 신하를 다스리고, 법규에 의해서 신하를 단속한다. 그러한 일은 한 때라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그런데 어찌 군주로서 사람을 부리는 일이 쉽단 말인가. 사람을 구하는데는 고생이 되지 않지만 사람을 사용하는데는 평안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공은「사람을 찾는 데는 고생이 되지만 사용하는 데는 평안하다」고 말하고 있는데 그것은 아주 잘못인 것이다.

그 뿐 아니라 환공이 관중을 얻은 것은 그렇게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관중은 그 주군을 위해서 죽지 않고 환공을 따랐고, 포숙은 자기 관직에 미련을 두지 않고 능력 있는 사람에게 양보하여 그 임무를 맡게 했으므로 환공이 관중을 얻게 된 것은 곤란하지 않았던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관중을 얻은 다음은 결코 평안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관중은 주공 단과는 달랐다. 주공은 천자로 있기를 7년, 성왕이 장년이 되자 국정을 돌려주었다. 이 일은 천하를 위해서 한 일이 아니라 그 의무 때문이었다. 어린 군주의 지위를 탈취하면서까지 천하를 다스리겠다고 하는 자가 아니라면 죽은 주군에 대해서 배반하고 그 원수를 섬기지 못할 것이다. 망군을 배신하고 그 원수를 섬기는 자는 반드시 어린 군주의 지위를 탈취하고 천하를 통치하는 일쯤은 아무렇지도 않다고 생각할 것이다. 어린 군주의 지위를 탈취하여 천하를 통치하는 것을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하는 자는 반드시 그 군주의 나라를 탈취하는 일도 예사로 여길 것이다. 관중은 공자 규의 신하로서 환공을 죽이려 했으나 이룩하지 못하고, 그 군주가 사망하자 환공을 섬긴 것이다. 그러한 점으로 볼 때 관중의 진퇴가 주공 단의 경우와는 다르다는 것이 분명하지만 관중의 어짊과 어질지 않음은 쉽게 판단할 수 없는 것이다.

만일 관중이 현자였다고 하면 그 탕왕이나 문왕과 같은 자가 되었을 것이다. 탕왕은 걸왕의 신하이고, 무왕은 주왕의 신하였지만 걸과 주에게 포악한 행실이 있었기 때문에 탕과 무는 그 지위를 탈취한 것이다. 어쨌든 환공이 편안한 마음으로 관중을 지배한 것은 걸과 주 같은 행동을 하면서도 탕과 무의 위에 군림하고 있는 셈이니 환공도 위태로운 것이다.

만일 관중이 보잘것없는 인물이었다면, 전상과 같은 자가 되었을 것이다. 전상은 제나라 간공의 신하였지만 그 군주를 죽인 바 있다. 어쨌든 환공이 편한 기분으로 관중에게 군림하고 있는 것은 간공이 편한 기분으로 전상 위에 군림하는 것이 되어 이것 또한 환공에게는 위험한 것이다.

관중이 주공과 같은 인물이 아니라는 것이 명백하지만 탕이나 무 또는 전상과 같이 될는지 그것은 알 수 없는 일이다. 탕이나 무가 된다면 걸이나 주가 당한 위험이 환공에게 일어날 것이며, 전상과 같이 된다면 간공이 휘말렸던 소란이 환공에게도 일어날 것이다. 그러나 중부를 신하로 한 다음에도 환공은 평안할 수가 있었을까.

만일 환공이 관중에게 일임한 것이 어느 면으로 보든지 관중이 자기를 속이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한 일이라면 환공은 군주를 속이지 않는 신하를 알고 있었다는 것이 된다. 그러나 환공은 군주를 속이지 않는 신하를 알고 있었다 할지라도, 환공은 관중에게 일임한 전단을 수조와 역아에게 주고 그 결과 환공이 사망한 후에 그 시체에서 구더기가 나올 때까지 매장되지 못하였던 것이다. 그렇다면 환공은 군주를 속이는 신하와 속이지 않는 신하를 구별하지 못했던 것이 분명하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신하인 관중에게 그처럼 내맡겨 버리고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환공을 미욱한 인물이었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 韓非子 第37篇 論難(二)[5]-

齊桓公之時, 晉客至, 有司請禮. 桓公曰「告仲父」者三. 而優笑曰「易哉, 爲君!一曰仲父, 二曰仲父.」 桓公曰:「吾聞君人者勞於索人, 佚於使人. 吾得仲父已難矣, 得仲父之後, 何爲不易乎哉?」  或曰: 桓公之所應優, 非君人者之言也. 桓公以君人爲勞於索人, 何索人爲勞哉? 伊尹自以爲宰干湯, 百里奚自以爲虜干穆公. 虜, 所辱也 宰, 所羞也. 蒙羞辱而接君上, 賢者之憂世急也. 然則君人者無逆賢而已矣, 索賢不爲人主難. 且官職, 所以任賢也 爵祿, 所以賞功也. 設官職, 陳爵祿, 而士自至, 君人者奚其勞哉? 使人又非所佚也. 人主雖使人, 必以度量準之, 以刑名參之 以事遇於法則行, 不遇於法則止 功當其言則賞, 不當則誅. 以刑名收臣, 以度量準下, 此不可釋也, 君人者焉佚哉?  索人不勞, 使人不佚, 而桓公曰:「勞於索人, 佚於使人」 者, 不然. 且桓公得管仲又不難. 管仲不死其君而歸桓公, 鮑叔輕官讓能而任之, 桓公得管仲又不難, 明矣. 已得管仲之後, 奚遽易哉? 管仲非周公旦. 周公旦假爲天子七年, 成王壯, 授之以政, 非爲天下計也, 爲其職也. 夫不奪子而行天下者, 必不背死君而事其讎 背死君而事其讎者, 必不難奪子而行天下 不難奪子而行天下者, 必不難奪其君國矣. 管仲, 公子糾之臣也, 謀殺桓公而不能, 其君死而臣桓公. 管仲之取舍非周公旦, 未可知也. 若使管仲大賢也, 且爲湯· 武. 湯· 武, 桀· 紂之臣也 桀· 紂作亂, 湯· 武奪之. 今桓公以易居其上, 是以桀· 紂之行, 居湯· 武之上, 桓公危矣. 若使管仲不肖人也, 且爲田常. 田常, 簡公之臣也, 而弑其君. 今桓公以易居其上, 是以簡公之易, 居田常之上也, 桓公又危矣. 管仲非周公旦以明矣, 然爲湯· 武與田常, 未可知也. 爲湯· 武, 有桀· 紂之危 爲田常, 有簡公之亂也. 已得仲父之後, 桓公奚遽易哉? 若使桓公之任管仲, 必知不欺己也. 是知不欺主之臣也. 然雖知不欺主之臣, 今桓公以任管仲之專, 借豎刁· 易牙, 蟲流出尸而不葬, 桓公不知臣欺主與不欺主已明矣, 而任臣如彼其專也, 故曰桓公闇主.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