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白居易[백거이] 對酒五首[其五]대주5수 / 문병 갔다 조문하니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305  

 

對酒五首[其五]대주5/ 문병 갔다 조문하니

 

- 白居易[백거이] -

 

昨日低眉問疾來[작일저미문질래] 어저께 근심스레 문병하고 왔는데

今朝收淚人回[금조수루조인회] 아침에 눈물로 조문하러 다시가네

眼前流例君看取[안전유례군간취] 눈 앞에 일어난 예 그대 보았거니

且遣琵琶送一杯[차견비파송일배] 비파곡조에 실어 한 잔 술 드세나

 


백거이[白居易] ()나라 때 시인으로 자는 낙천(樂天), 호는 향산거사(香山居士) 또는 취음선생(醉吟先生)이다. 조적(祖籍)은 산서(山西) 태원(太原)이고, 이백(李白)이 죽은 지 10, 두보(杜甫)가 죽은 지 2년 후에 하남(河南) 신정(新鄭)에서 태어났다. 정원(貞元) 16(800)에 진사가 되어, 벼슬은 소주(蘇州항주(杭州)의 자사를 거쳐 만년에 태자소부(太子少傅)에 지냈고, 형부상서(刑部尙書)로 치사(致仕)하였다. 향산(香山)에서 지내다가 세상을 뜬 뒤 낙양(洛陽) 남쪽 향산의 비파봉(琵琶峰)에 묻혔다. 시호는 문()이다. 세상 사람들이 백부(白傅) 또는 백문공(白文公)으로 불렀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5세 때부터 시 짓는 법을 배웠으며 15세가 지나자 주위 사람을 놀라게 하는 시재를 보였다 한다. 이백(李白), 두보(杜甫)와 더불어 당대3대시인(唐代三大詩人)으로, 같은 시대의 한유(韓愈)와 더불어 이두한백(李杜韓白)으로 병칭된다. 원진(元稹)과는 함께 신악부운동(新樂府運動)을 이끌어 원백(元白)으로, 유우석(劉禹錫)과는 유백(劉白)으로 병칭되며 당시 으뜸으로 쳤다. 백거이는 시의 제재가 광범위하고 형식이 다양하며 언어가 평이하고 통속적이어서 시마(詩魔) 또는 시왕(詩王) 등의 칭호를 얻었다. 그는 시론을 통해 자신의 시작의 첫째 목적은 겸제(兼濟)의 뜻을 살린 풍유(諷諭)에 있다고 현실주의적인 견해를 밝히고 있고, 스스로 자신의 시집을 편집하면서 시를 풍유시(諷諭詩), 한적시(閑寂詩), 감상시(感傷詩), 잡률(雜律詩)의 네 종류로 분류하였다. 만년에는 세상일에 대하여 고민하고 방황한 끝에 한적을 좋아하는 태도로 발전한다. 저서에 백씨장경집(白氏長慶集백씨육첩사류(白氏六帖事類) 등이 전한다. 장한가(長恨歌), 매탄옹(賣炭翁), 비파행(琵琶行) 등을 대표적인 시로 꼽는다.

저미[低眉] 고개를 숙임. 아래로 처진 눈썹. 눈썹을 낮게 드리우다. 부드럽고 순종하는 표정을 짓다. 눈을 아래로 깔다.

간취[看取] 보아서 내용을 알아차림.

유례[流例] 널리 전하여 오는 예. 세상에 널리 퍼져서 전하여 온 예. 예전부터 내려오는 관습·관례.

차견[且遣] 뒤따라 보내다. 장차 보내다.

 

 



번호 제     목 조회
362 陶淵明[도연명] 雜詩十二首[其三]잡시12수3 / 해와 달은 돌아오지만 2077
361 韋應物[위응물] 秋夜寄丘員外[추야기구원외] 빈 산의 솔방울 소리 2379
360 陶淵明[도연명] 和郭主簿二首[其二]화곽주부2수2 / 은자의 비결 2105
359 白居易[백거이] 感興二首[其二]감흥2수2 / 스스로 괴로운 인간 2033
358 高適[고적] 人日寄杜二拾遺[인일기두이습유] 인일에 두보에게 부치다 2276
357 程顥[정호] 秋日偶成[추일우성] 가을날 문득 짓다 2591
356 杜牧[두목] 九日齊山登高[구일제산등고] 중양절에 제산에 올라 2258
355 杜甫[두보] 贈別賀蘭銛[증별하란섬] 하란섬과 이별하며 2135
354 韓愈[한유] 山石[산석] 산의 돌 3228
353 歐陽脩[구양수] 初春[초춘] 초봄 2220
352 白居易[백거이] 對酒五首[其五]대주5수 / 문병 갔다 조문하니 2306
351 白居易[백거이] 對酒五首[其三]대주5수3 / 신선도 취하면 2216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