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杜甫[두보] 贈別賀蘭銛[증별하란섬] 하란섬과 이별하며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134  

 

贈別賀蘭銛[증별하란섬] 하란섬과 이별하며

 

- 杜甫[두보] -

 

黃雀飽野粟[황작포야속] 참새는 들곡을 실컷 쪼아 먹고

群飛動荊榛[군비동형진] 떼지어 덤불로 날아가는데

今君抱何恨[금군포하한] 그대는 어찌 한을 품고서

寂寞向時人[적막향시인] 쓸쓸히 시속으로 들어가는가

老驥倦驤首[노기권양수] 늙은 준마는 목 쳐들기 물려하고

蒼鷹愁易馴[창응수이순] 창응은 쉬이 길들여짐 슬퍼하니

高賢世未識[고현세미식] 고현은 세상에 알려지지 않아

固合嬰饑貧[고합영기빈] 본디 굶주리고 가난함이 당연하리

國步初返正[국보초반정] 국운은 비로소 바르게 돌아오나

乾坤尚風塵[건곤상풍진] 세상이 여전히 풍진속이라

悲歌鬢髮白[비가빈발백] 슬피 노래하매 머리털 세고

遠赴湘吳春[원부상오춘] 상오의 봄에 멀리 떠나가누나

我戀岷下芋[아련민하우] 나는 민하의 토란을 그리는데

君思千里蓴[군사천리순] 그대는 천리의 순채를 생각나니

生離與死別[생리여사별] 살아 하나 죽어 하나 이별이란

自古鼻酸辛[자고비산신] 예로부터 코끝을 시큰케 하네

 


황작[黃雀] 참새. 현종실록 현종 117115번째 기사에 황작(黃雀) 천만 마리가 무리를 지어 들판을 덮고 먹이를 쪼아 먹어서 심지어 상율(橡栗)도 열매를 맺지 못한다고, 감사가 보고하였다.”고 보인다.

형진[荊榛] 가시나무와 개암나무. 또는 그것들이 우거진 무성한 잡목림을 이르는 말이.

시인[時人] 그 당시(當時)의 사람들

시속[時俗] 그 시대의 풍속. 시습(時習시풍(時風). 그 당시의 속된 것.

창응[蒼鷹] 털색이 푸르고 흰 큰 매. 매가 사납다는 데서, 조금도 변통이 없는 모진 관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서한 왕조 4대 황제 경제(景帝) 때의 혹리 질도(郅都)의 별명이 창응(蒼鷹)이었다. 그만큼 사나웠고, 황제 앞에서도 바른 소리 하기로 유명했다. 급암과 같은 직언 스타일이었다. 특히 권력을 믿고 백성들을 못살게 구는 권세가들에게는 인정사정이 없었다. 법을 무시하고 제멋대로 구는 제남군의 호족 간씨 일가를 몰살한 적도 있다.

고현[高賢] 덕이 높고 현명(賢明)한 사람. 고상(高尙)한 현자.

고상[高尙] 몸가짐과 품은 뜻이 깨끗하고 높아 세속(世俗)된 비천(卑賤)한 것에 굽히지 아니함. 학문(學問), 예술(藝術) 등의 정도(程度)가 높아 저속(低俗)하지 아니함.

현자[賢者] 어질고 총명(聰明)하여 성인(聖人)의 다음가는 사람. 어질고 총명하여 성인에 견줄 만큼 뛰어난 사람.

국보[國步] 국운(國運). 나라의 운명(運命). 나라의 걸음걸이라는 뜻으로, 나라의 운명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풍진[風塵] 바람과 티끌. 바람에 일어나는 먼지. 세상(世上)에 일어나는 어지러운 일. 번거로운 속사(俗事). 어지러운 세상. 병란(兵亂).

상오[湘吳] 상오(湘吳)는 호남성(湖南省) 상강(湘江) 유역과 강소성(江蘇省) 남부를 지칭한다.

상오[湘吳] 상오는 곧 미주(美酒)의 이름인 상오주(湘吳酒)의 약칭인데, 상천(湘川)의 영릉현(酃陵縣)에는 물이 좋아 술을 빚기로 유명하고 오흥(吳興)의 오정현(烏程縣)에는 약하주(若下酒)가 유명하므로, 상천(湘川)의 상() 자와 오흥(吳興)의 오() 자를 합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謝惠連 雪賦注>

상오춘[湘吳春] 상오(湘吳)는 중국의 지명인데, 좋은 술이 난다. ()은 술의 별칭이다.

민하우[岷下芋] 민산(岷山) 밑에서는 토란이 많이 생산되어 이곳 사람들은 죽을 때까지 굶주리지 않는다 한다. <史記 司馬相如列傳>

천리순[千里蓴] ()나라 때 강동(江東) 오중(吳中)의 출신인 육기(陸機)가 시중(侍中) 왕제(王濟)를 찾아갔을 때, 왕제가 양락(羊酪)을 자랑하면서 육기에게 말하기를 그대의 고향 동오(東吳)에는 어떤 식품이 이와 맞먹을 만한가?” 하니, 육기가 대답하기를 천리호에서 나는 순채국은 맛이 좋아서 소금이나 된장을 쓸 필요도 없습니다[千里蓴羹 未下鹽豉]”고 대답한 고사가 있다. <晉書 卷54 陸機列傳> , 진대(晉代)의 문인 장한(張翰)이 일찍이 낙양(洛陽)에 들어가 동조연(東曹掾)으로 있다가, 어느 날 갑자기 가을바람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는 고향인 강동(江東) 오중(吳中)의 순챗국과 농어회를 생각하면서 인생은 자기 뜻에 맞게 사는 것이 귀중하거늘, 어찌 수천 리 타관에서 벼슬하여 명작을 구할 수 있겠는가[人生貴得適志, 何能羈宦數千里 以要名爵乎?]” 하고, 마침내 수레를 명하여 고향으로 돌아갔다는 고사가 있다. <晉書 卷92 文苑列傳 張翰>

 

 



번호 제     목 조회
362 陶淵明[도연명] 雜詩十二首[其三]잡시12수3 / 해와 달은 돌아오지만 2077
361 韋應物[위응물] 秋夜寄丘員外[추야기구원외] 빈 산의 솔방울 소리 2379
360 陶淵明[도연명] 和郭主簿二首[其二]화곽주부2수2 / 은자의 비결 2104
359 白居易[백거이] 感興二首[其二]감흥2수2 / 스스로 괴로운 인간 2032
358 高適[고적] 人日寄杜二拾遺[인일기두이습유] 인일에 두보에게 부치다 2276
357 程顥[정호] 秋日偶成[추일우성] 가을날 문득 짓다 2590
356 杜牧[두목] 九日齊山登高[구일제산등고] 중양절에 제산에 올라 2258
355 杜甫[두보] 贈別賀蘭銛[증별하란섬] 하란섬과 이별하며 2135
354 韓愈[한유] 山石[산석] 산의 돌 3228
353 歐陽脩[구양수] 初春[초춘] 초봄 2220
352 白居易[백거이] 對酒五首[其五]대주5수 / 문병 갔다 조문하니 2305
351 白居易[백거이] 對酒五首[其三]대주5수3 / 신선도 취하면 2215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