勸酒十四首권주14수 : 何處難忘酒七首[其一]하처난망주7수1
- 白居易[백거이] -
何處難忘酒[하처난망주] 어떨 때 술 없으면 괴로운가
長安喜氣新[장안희기신] 장안에서 신바람 새롭던 날
初登高第後[초등고제후] 첫 번에 과거에 우등 급제하여
乍作好官人[사작호관인] 졸지에 좋은 관직을 얻었나니
省壁明張榜[성벽명장방] 중서성 벽에는 합격 방문 붙었고
朝衣穩稱身[조의온칭신] 조복은 편안히 몸에 꼭 맞았네
此時無一醆[차시무일잔] 이럴 때 한 잔의 술이 없다면
爭奈帝城春[쟁내제성춘] 서울의 봄을 어찌할거나
<勸酒十四首권주십사수 并序병서>
내가 동도(東都: 낙양洛陽)에 살면서 한가로운 날이 많았다. 한가하면 술을 마시고 취하면 시를 읊었으니, 만약 시문(時文)이 없었으면 노래를 부르지 못하였을 것이다. 매번 생각이 날 때 한 편씩 만들다보니 모두 14편이 되었는데, 모두가 술에 관한 것으로 자작하며 즐기던 것이어서 ‘하처난망주(何處難忘酒)’와 ‘불여래음주(不如來飲酒)’로 이름 붙였다[予分秩東都, 居多暇日. 閒來輒飲, 醉後輒吟, 若無詞章, 不成謠詠. 每發一意, 則成一篇, 凡十四篇, 皆主於酒, 聊以自勸, 故以何處難忘酒, 不如來飲酒命篇.] <白氏長慶集백씨장경집 巻二十七권이십칠>
❍ 희기[喜氣] 기쁜 기분(氣分). 기쁨. 희색. 기뻐하는 기색.
❍ 고제[高第] 고과(高科). 과거(科擧)에서의 우등 급제(及第). 과거에서의 우수한 성적을 이르던 말.
❍ 관인[官人] 벼슬에 있는 사람. 관직에 임명하다. 관직인. 벼슬아치. 벼슬자리에 있는 사람.
❍ 칭신[稱身] 옷이 몸에 꼭 맞음. 의복 따위가 몸에 맞다.
❍ 쟁나[爭奈] 어떻게 할 수 없는. 어찌. 어찌하여. 어찌 하랴?
❍ 제성[帝城] 황성(皇城). 황제가 있는 나라의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