江上月夜望客舟[강상월야망객주] 달밤 강의 객선을 보며
- 李奎報[이규보] -
官人閑捻笛橫吹[관인한념적횡취] 벼슬아치 한가로이 피리를 비껴 불고
蒲蓆凌風走似飛[포석릉풍주사비] 부들돛배 바람 타고 날듯이 나아가네
天上月輪天下共[천상월륜천하공] 하늘의 둥근달 세상 모두의 것이건만
自疑私載一船歸[자의사재일선귀] 저만이 한 배 가득 싣고 가나 싶겠지
※ 청구풍아(靑丘風雅), 기아(箕雅), 대동시선(大東詩選), 성수시화(惺叟詩話)에서는 석(蓆)이 석(席)으로, 주(走)가 거(去)로 되어 있음.
❍ 이규보[李奎報] 고려후기(高麗後期)의 대표적인 문신이자 문장가. 본관은 황려(黃驪: 여주). 자는 춘경(春卿), 초명은 인저(仁低), 호는 백운거사(白雲居士)·지헌(止軒)·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이다. 9세 때부터 신동이라는 말을 들어 14살에는 문헌공도(文憲公徒)에 들어가 수학하였다. 소년시절 술을 좋아하며 자유분방하게 지냈는데, 과거지문(科擧之文)을 하찮게 여기고 이인로(李仁老), 오세재(吳世才), 임춘(林春), 조통(趙通), 황보항(皇甫抗), 함순(咸淳), 이담지(李潭之) 등 강좌칠현(姜左七賢)과 교유하였다. 23세 때 겨우 진사에 급제했으나 출세의 기회를 얻지 못했다. 26세에 개성으로 돌아와 궁핍한 생활을 하면서, 당시의 문란한 정치와 혼란한 사회를 보고 크게 각성하여 동명왕편(東明王篇)을 지었다. 그 후 최충헌(崔忠憲)정권에 시문으로 접근하여 문학적 재능을 인정받고 32세 때부터 벼슬길에 오르게 되었다. 이후 좌천과 부임, 면직과 유배 그리고 복직 등을 거듭하면서 다사다난한 생을 보냈다. 저서로는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백운소설(白雲小說), 국선생전(麴先生傳) 등의 저서와 많은 시문(詩文)을 남겼다.
❍ 포석[蒲席] 부들자리. 부들의 줄기나 잎으로 엮어 만든 자리.
❍ 능풍[凌風] 바람을 타다. 사영운(謝靈運)의 시 직중서성(直中書省)에 “벗 그리는 정은 가슴속에 울적하고, 봄의 풍광은 화창도 하여라. 어찌하면 바람을 탈 만한 날개를 얻어, 산수를 마음대로 완상할 수 있을꼬.[朋情以鬱陶, 春物方駘蕩. 安得凌風翰, 聊恣山泉賞?]”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