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任翻[임번] 宿巾子山禪寺[숙건자산선사] 건자산 선사에 묵다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511  

 

宿巾子山禪寺[숙건자산선사] 건자산 선사에 묵다

 

- 任翻[임번] -

 

絶頂新秋生夜涼[절정신추생야량] 산마루엔 초가을 밤 서늘함이 돋아

鶴翻松露滴衣裳[학번송로적의상] 학이 날자 솔잎이슬 옷에 떨어지네

前峰月映半江水[전봉월영반강수] 앞봉우리 달빛은 야윈 강을 채우고

僧在翠微開竹房[승재취미개죽방] 산허리의 스님은 승방 문을 여시네

 


임번[任翻] ()나라 말기의 시인(詩人)이다. 任蕃(임번) 또는 任藩(임번)이라고도 부른다. 강남(江南) 사람이다. 출신이 빈한하여 걸어서 경사(京師)에 가 진사(進士)시험을 보았으나 낙제하고 돌아왔다. 이에 강호를 방랑하며 시()를 읊고 금()을 타며 스스로 즐겼다.

선사[禪寺] 선종(禪宗)의 절.

절정[絶頂] 최고에 달한 상태나 경지. 사물의 치오른 극도(極度). 고조(高潮). 산의 맨 꼭대기.

의상[衣裳] 겉에 입는 저고리와 치마. 의복(衣服). . 모든 옷.

반강[半江] 썰물 때 물이 줄어 반쪽이 된 강을 이른다. 대복고(戴復古)의 시 강빈효보(江濱曉步)기러기 그림자 들쑥날쑥 반쪽 강에 달은 지고, 꼬끼오 닭이 우는 집 몇 채 뿐인 마을[雁影參差半江月 鷄聲咿喔數家村]”이라고 하였다.

죽방[竹房] 승방(僧房)의 별칭이다. 당 덕종(唐德宗)의 제장경사(題章敬寺) 시에 송원의 이끼 빛엔 정적이 흐르고, 죽방의 풍경 소리는 그윽하구나[松院靜苔色 竹房深磬聲]”라고 하였다.

취미[翠微] 산의 중허리. 산의 중턱. 청록(靑綠)빛의 산색(山色). 청산(靑山). 먼 산에 아른아른 보이는 엄은 푸른 빚.

 

 



번호 제     목 조회
62 杜甫[두보] 秋興八首[其八]추흥8수8 / 백발로 읊조리다 고개 떨구네 1513
61 任翻[임번] 宿巾子山禪寺[숙건자산선사] 건자산 선사에 묵다 1512
60 金時習[김시습] 贈峻上人二十首[其二]증준상인20수2 / 송화 가루 산허리에 1512
59 韋應物[위응물] 初發揚子寄元大校書[초발양자기원대교서] 양자진을 떠나며 원대에게 1510
58 韓愈[한유] 左遷至藍關示姪孫湘[좌천지남관시질손상] 좌천길 남관이 눈에 막혀 1510
57 杜甫[두보] 江上値水如海勢聊短述[강상치수여해세료단술] 바다 같은 강에서 짧게 짓다 1510
56 陶淵明[도연명] 飮酒二十首[其九]음주20수9 / 이른 아침 손님 1508
55 金昌協[김창협] 山行[산행] 쓸쓸한 산행 1507
54 懶翁惠勤[나옹혜근] 警世[경세] 명리는 화의 문 1507
53 杜甫[두보] 題張氏隱居二首[其二]제장씨은거2수2 / 장씨의 은거에서 적다 1506
52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五]잡흥9수5 / 이룬 것 없이 늙어 1504
51 丁若鏞[정약용] 古詩二十七首고시27수[01] 종잡을 수 없는 삶 1504



   41  42  43  44  45  46  47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