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金炳淵[김병연] 過寶林寺[과보림사] 보림사를 거치다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010  

 

過寶林寺[과보림사] 보림사를 거치다

 

- 金炳淵[김병연] -

 

窮達在天豈易求[궁달재천기이구] 궁달은 재천이니 어찌 쉽게 구하랴

從吾所好任悠悠[종오소호임유유] 나는 내 좋을 대로 유유하게 살리라

家鄕北望雲千里[가향북망운천리] 북쪽 고향 바라보니 구름이 천리요

身勢南遊海一漚[신세남유해일구] 남녁 떠도는 신세 바다의 한 거품이라

掃去愁城盃作箒[소거수성배작추] 수심 쓸어버리고자 술잔을 비로 삼고

釣來詩句月爲鉤[조래시구월위구] 시구 낚아 올리고자 달을 낚시 삼네

寶林看盡龍泉又[보림간진용천우] 보림사 다 둘러보고 용천사 둘러보니

物外閑跡共比丘[물외한적공비구] 속세 떠난 한가한 자취 중과 한가지라

 


김병연[金炳淵] 조선(朝鮮) 후기(後期)의 방랑(放浪) 시인(詩人). 자는 성심(性深)이며 호는 난고(蘭皐)이다. 속칭 김삿갓 혹은 김립(金笠)이라 불린다. 본관은 안동(安東). 경기도 양주 출생. 전국을 떠돌아다니며 즉흥적인 풍자시를 많이 지어서 남겼다. 평안도 선천부사(宣川府使)였던 할아버지 김익순(金益淳)이 홍경래의 난 때에 항복한 죄로 집안이 멸족(滅族)을 당하였다. 노복 김성수(金聖洙)의 도움으로 여섯 살 때 형 김병하(金炳河)와 함께 황해도 곡산(谷山)으로 피신하여 숨어 지냈다. 후일 멸족에서 폐족(廢族)으로 사면되어 형제는 어머니에게로 돌아갔다. 그러나 아버지 김안근(金安根)은 화병으로 죽었다. 어머니는 자식들이 폐족자로 멸시받는 것이 싫어서 강원도 영월로 옮겨 숨기고 살았다. 이 사실을 모르는 김병연이 과거에 응시하여 논정가산충절사탄김익순죄통우천(論鄭嘉山忠節死嘆金益淳罪通于天)이라는 그의 할아버지 김익순을 조롱하는 시제로 장원급제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내력을 어머니에게서 듣고는 조상을 욕되게 한 죄인이라는 자책과 폐족자에 대한 멸시 등으로 20세 무렵부터 처자식을 둔 채로 방랑 생활을 시작하였다. 스스로 하늘을 볼 수 없는 죄인이라 생각하고 항상 큰 삿갓을 쓰고 다녀 김삿갓이라는 별명이 생겼다. 전국을 방랑하면서 각지에 즉흥시를 남겼는데 그 시 중에는 권력자와 부자를 풍자하고 조롱한 것이 많아 민중 시인으로도 불린다. 아들 익균(翼均)이 여러 차례 귀가를 권유했으나 계속 방랑하다가 전라도 동복(同福: 전남 화순)에서 57세에 객사하였다. 김립시집(金笠詩集)이 전한다.

궁달[窮達] 가난함과 부귀함을 아울러 이르는 말. 빈궁(貧窮)과 영달(榮達)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곤궁(困窮)과 현달(顯達). 곧 인생의 부침을 가리킨다. 궁통(窮通). 깊이 연구하여 통달함. 묵자(墨子) 비유하(非儒下)곤궁과 현달, 상과 벌, 행운과 불운은 모두 그 끝이 있으니 사람의 앎이나 힘으로는 어찌하지 못하는 데가 있다.[窮達賞罰, 幸否有極, 人之知力, 不能爲焉.]”라고 하였고, 백거이(白居易)의 시 유우(諭友)곤궁과 영달은 각각의 운명이라, 재주 있고 없음을 따지지 말라.[窮通各有命 不擊才不才]”라고 하였고, 남조(南朝) 송 나라 심유지(沈攸之)가 말하기를 일찍 곤궁하고 현달(顯達)함이 운명에 달린 것인 줄 알았더라면, 공명을 애써서 구하지 말고 10년 동안 글을 읽지 못한 것이 한()이로다.[早知窮達有命, 恨不十年讀書]”라고 하였다.

유유[悠悠] 한적하다. 한가로이 노닐다. 침착하고 여유가 있다. 한가하다. 유유하다. 여유 있다. 느긋하다. 느리다. 하는 일 없이 빈둥거리다. 한가하여 긴요함이 없다.

가향[家鄕] 자기(自己) 집이 있는 고향(故鄕).

수성[愁城] 근심되고 고통스러운 지경. 괴로운 처지. 걱정되고 고민스러운 처지. 수성은 아주 풀기 어려운 고통스러운 시름을 성벽(城壁)에 비유한 것으로, 유신(庾信)의 수부(愁賦)허다한 수성은 공략해도 끝내 부서지지 않고, 허다한 수문은 흔들어도 끝내 열리지를 않네.[攻許愁城終不破, 蕩許愁門終不開.]”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庾開府集箋註 卷1>

물외[物外] 물건의 밖. 세상 밖. 속세의 밖. 신선 세계. 별천지(別天地). 세속의 일을 초월함. 진세(塵世)를 멀리 초탈(超脫)한 경지.

비구[比丘] 범어(梵語) ‘bhikṣu’의 음역으로 불교에서 출가하여 구족계(具足戒)를 받은 남자 승려를 이른다. 20세가 되기 전에 출가하여 십계(十戒)를 받고 수행하는 자를 사미(沙彌)라 하고, 20세가 되어 구족계(具足戒)를 받은 자를 일러 비구(比丘)라고 한다.

비구승[比丘僧] 단신으로 출가해 독신으로 불도를 닦는 중.

보림사[寶林寺]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有治面) 가지산(迦智山)에 있는 절. 송광사(松廣寺)의 말사(末寺)이다. 신라 때, 860(헌안왕 4)년에 보조 선사가 창건하여 가지산파의 중심 사찰로 발전하였다. 또한 인도와 중국에도 보림사가 있어서 이 세 절을 합하여 삼보림(三寶林)이라 한다.

용천사[龍泉寺] 전라남도 함평군 해보면 모악산(母岳山)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승려 행은존자(幸恩尊者)가 창건한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인 백양사(白羊寺)의 말사이다. 용천사라는 이름은 현재 대웅전 층계 밑에 있는 사방 1.2m 가량의 샘에서 유래되었다. 전설에 의하면, 서해로 통하는 이 샘에 용이 살다가 승천하였다고 하여 용천이라 불렀으며, 용천 옆에 지은 절이라 하여 용천사라 하였다고 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46 王維[왕유] 秋夜曲[추야곡] 가을밤 노래 2167
445 金炳淵[김병연] 無題[무제] 죽 한 그릇 2064
444 金炳淵[김병연] 看山[간산] 산 구경 2108
443 金炳淵[김병연] 寒食日登北樓吟[한식일등북루음] 한식날 북루에 올라서 읊다 1958
442 金炳淵[김병연] 賞景[상경] 경치구경 2094
441 金炳淵[김병연] 過寶林寺[과보림사] 보림사를 거치다 2011
440 金炳淵[김병연] 落葉[낙엽] 낙화보다 더 슬퍼 2271
439 金炳淵[김병연] 落葉吟[낙엽음] 지는 잎 2078
438 金炳淵[김병연] 洛花吟[낙화음] 꽃이 지누나 1899
437 蘇軾[소식] 春夜[춘야] 봄밤 2346
436 杜甫[두보] 臘日[납일] 납일 2073
435 王安石[왕안석] 夜直[야직] 야간당직 1847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