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高麗閨人[고려규인] 贈金台鉉[증김태현] 김태현께 드리다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775  

 

贈金台鉉[증김태현] 김태현께 드리다

 

- 高麗閨人[고려규인] -

 

馬上白面誰家郞[마상백면수가랑] 말 위의 백면서생 어느 집 자제인지

邇來三月不知名[이래삼월부지명] 석 달이 다 되도록 이름도 몰랐는데

如今始識金台鉉[여금시식김태현] 이제서야 김태현임을 알게 되었으니

細眼長眉暗入情[세안장미암입정] 가는 눈 긴 눈썹에 은근히 정이 들어

 

이 시는 제목과 지은이를 알 수 없다. 동사강목(東史綱目), 양촌집(陽村集),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등에 김태현(金台鉉)을 소개하면서 김태현을 흠모한 규중여인(閨中女人)이 이 시를 지었다는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청비록3(淸脾錄三)고려(高麗) 5백 년 동안에 규인(閨人)의 시는 다만 한 수 밖에 전해 듣지 못하였다. 김태현(金台鉉)의 자는 불기(不器)이며 광산인(光山人)인데, 말과 행동이 예절에 어긋남이 없었다. 젊었을 때에 선진(先進)의 문하(門下)에서 수업(受業)하였는데, 그 때 선진에게 갓 과부(寡婦)가 된 딸이 있었다. 그가 공()의 풍채와 품위가 단아(端雅)하고, 눈썹과 눈이 그림처럼 아름다움을 보고 마음이 끌려 창문으로 시를 들여보냈는데, 그 시에 馬上誰家白面生 邇來三月不知名 如今始識金台鉉 細眼長眉暗入情이라 하였다. 공은 그런 일이 있은 후 다시는 그 집에 가지 않았다.”라고 하였다.

양촌집(陽村集),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에는 馬上白面誰家郞馬上誰家白面生이라 되어 있다.


백면[白面] 하얀 얼굴. 백면서생(白面書生). 얼굴이 희고 견식(見識)이 천박한 서생(書生). 책상물림. 밖에 나가지 않고 글공부만 하여 얼굴이 흰 선비. , 세상물정 모르는 사람을 비유한다.

백면서생[白面書生] 얼굴이 하얀 선비. 글만 읽고 세상일에 경험이 없는 사람. 풋내기. 백면(白面)은 흰 얼굴이란 뜻에서, 나이가 어리고 경험이 없는 것, 또는 그런 사람을 말한다.

 

 



번호 제     목 조회
14 杜甫[두보] 孤雁[고안] 後飛雁[후비안] 외로운 기러기 1919
13 姜至德[강지덕] 聽秋蟬[청추선] 가을 매미 소리 1893
12 陶淵明[도연명] 飮酒二十首[其十六]음주20수16 / 마흔을 바라보니 1881
11 李商隱[이상은] 辛未七夕[신미칠석] 851년 칠석 1875
10 賈島[가도] 三月晦日贈劉評事[삼월회일증유평사] 삼월 그믐날 유평사에게 1859
9 白居易[백거이] 食筍[식순] 죽순을 먹으며 1848
8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九]잡흥9수9 / 얽매임을 풀어야 1838
7 崔塗[최도] 巴山道中除夜有懷[파산도중제야유회] 파산으로 가다가 제야에 1791
6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八]잡흥9수8 / 양주의 봄버들 1787
5 高麗閨人[고려규인] 贈金台鉉[증김태현] 김태현께 드리다 1776
4 蘇軾[소식] 別歲[별세] 한 해를 보내며(세밑모임) 1772
3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七]잡흥9수7 / 한들구름 개인 날빛 희롱하고 1765



   41  42  43  44  45  46  47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