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李達[이달] 江行[강행] 강 따라 가는 길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529  

 

江行[강행] 강 따라 가는 길

 

- 李達[이달] -

 

路繞江千十里長[노요강천십리장] 길은 에움길 강둑 따라 기다란 길

落花穿破馬蹄香[낙화천파마제향] 떨어진 꽃 짓이기는 말굽마다 이는 향기

湖山莫道空來往[호산막도공래왕] 할 일 없이 호수며 산 쏘다닌다 하지 마소

羸得新詩滿錦囊[이득신시만금낭] 고달프게 얻은 새 시 금낭 가득하다오

 


이달[李達] 조선 중기의 시인. 본관은 신평(新平). 자는 익지(益之), 호는 손곡(蓀谷서담(西潭동리(東里)이다. 쌍매당(雙梅堂) 이첨(李詹)의 후손으로, 충청남도 홍주(洪州)에서 아버지 이수함(李秀咸)과 홍주 관기였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머니가 천인(賤人)이어서 세상에 쓰여질 수 없었다. 어려서부터 책읽기에 힘써 이백(李白)과 성당십이가(盛唐十二家)의 작품들을 모두 외울 정도였다. 정사룡(鄭士龍)과 박순(朴淳) 등의 문인(門人)으로 문장과 시에 능하고 글씨에도 조예가 깊었으나, 신분적 한계로 벼슬은 한리학관(漢吏學官: 사역원司譯院 소속 관리)에 그쳤다. 당시풍(唐詩風)의 시를 잘 지어 선조 때의 최경창(崔慶昌백광훈(白光勳)과 시사(詩社)를 맺고 교유하였다. 문단에서는 이들을 삼당시인(三唐詩人)이라고 불렀다. 신분적 제약을 시문(詩文)으로 달래며 강원도 원주(原州)의 손곡(蓀谷)에 살면서 손곡(蓀谷)을 자신의 호()로 하였다. 말년에는 허균(許筠)과 허난설헌(許蘭雪軒)을 가르쳤다. 문집에는 손곡시집(蓀谷詩集)이 있다. 허균(許筠)은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에서 그의 시는 청신(淸新)하고 아려(雅麗)하여 수준 높게 지은 것은 왕유(王維맹호연(孟浩然고적(高適잠삼(岑參)에 버금가고, 수준이 낮은 것도 유장경(劉長卿전기(錢起)의 운율을 잃지 않았다. 신라(新羅고려(高麗) 이래로 당시(唐詩)를 지었다고 하는 사람 중 아무도 그를 따를 사람이 없었다[其詩淸新雅麗, 高者出入王···, 而下不失劉·錢之韻. 自羅麗以下, 爲唐詩者皆莫及焉.]”고 하였고, 평생 몸 붙일 곳도 없어 사방으로 유리걸식(流離乞食)하여 사람들이 대부분 천하게 여겼다. 궁색한 액운으로 늙어간 것은 그가 시 짓는 일에만 몰두했기 때문이었다. 그의 몸은 곤궁했어도 불후(不朽)의 명시를 남겼으니 한 때의 부귀로 어떻게 그와 같은 명예를 바꿀 수 있으랴[平生無着身地, 流離乞食於四方, 人多賤之. 窮厄以老, 信乎坐其詩也. 然其身困而不朽者存, 豈肯以一時富貴易此名也.]”라고 하였다.

금낭[錦囊] 시를 적어서 넣는 비단 주머니이다. ()나라의 시인인 이하(李賀)가 날마다 명승지를 다니면서 해()라는 어린 종에게 비단 주머니[錦囊]를 지고 따르게 하여 시를 짓는 즉시 주머니에 담았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新唐書 卷203 文藝列傳下 李賀>

 

 



번호 제     목 조회
74 吉再[길재] 無題[무제] 늙었으면 물러나야지 1549
73 白居易[백거이] 偶作二首[우작2수] 우연히 지은 두 수 1548
72 張維[장유] 山崦人家[산엄인가] 산에 숨의 마을 1546
71 陶淵明[도연명] 雜詩十二首[其十二]잡시12수12 / 벼랑 끝 소나무 1544
70 陶淵明[도연명] 飮酒二十首[其一]음주20수1 / 성쇠는 변하는 것 1540
69 李商隱[이상은] 北靑蘿[북청라] 북청라 1539
68 韓愈[한유] 左遷至藍關示姪孫湘[좌천지남관시질손상] 좌천길 남관이 눈에 막혀 1534
67 金炳淵[김병연] 寒食日登北樓吟[한식일등북루음] 한식날 북루에 올라서 읊다 1532
66 杜甫[두보] 秋興八首[其八]추흥8수8 / 백발로 읊조리다 고개 떨구네 1532
65 陶淵明[도연명] 飮酒二十首[其十四]음주20수14 / 술 속에 깊은 뜻이 1531
64 金時習[김시습] 贈峻上人二十首[其二]증준상인20수2 / 송화 가루 산허리에 1530
63 李達[이달] 江行[강행] 강 따라 가는 길 1530



   41  42  43  44  45  46  47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