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웅[畫熊] 수레의 식(軾)을 곰의 형상으로 꾸민 화려한 수레를 말한다. 후한서(後漢書) 여복지 상(輿服志上)에 “삼공(三公)과 열후(列侯)는 녹교(鹿較)·웅식(熊軾)에 검은 깃발을 단 수레를 탑승한다.”고 하였다. 참고로 두보(杜甫)의 시에 “中丞問俗畫熊頻 愛弟傳書綵鷁新”이라는 구절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18 奉送蜀州柏二別駕 將中丞命 赴江陵 起居衛尙書太夫人 因示從弟行軍司馬位>
♞ 화웅권학[和熊勸學] 어머니가 자식 교육에 정성을 들인 것을 비유한 말이다. 당(唐) 나라 때 유중영(柳仲郢)의 모친 한씨(韓氏)가 곰의 쓸개를 수종(數種)의 약재와 섞어 환(丸)을 지어서 공부하는 여러 자식들에게 주었던 데서 온 말이다.
♞ 화원[花園] 고려 최영(崔瑩)이 송도(松都)의 화원(花園)에서 이성계(李成桂)에게 잡혔다.
♞ 화원[華元] 춘추 시대 송(宋) 나라 우사(右師)로서, 어느날 염소를 잡아서 그 부하 군사를 먹이는데, 그 어자(御者) 양짐(羊斟)이 참여하지 못하였다. 급기야 싸우는데 양짐이 말하기를 “지난날 염소는 그대 마음대로 했으니, 오늘날 일은 내 마음대로 하겠다.”고 하였다.<左傳 宣公 二年>
♞ 화원귀[華元歸] 화원(華元)은 춘추 시대 송(宋) 나라 장군으로, 침입해 온 정(鄭) 나라 군대와 맞서 싸우던 중에, 앙심을 품은 마부가 수레를 몰고 적진으로 들어가는 바람에 포로로 잡혔다가 다시 도망쳐 돌아온 고사가 있다. <史記 卷38 宋微子世家>
♞ 화월[花月] 아름다운 기첩(妓妾)을 비유한다. 당(唐) 나라 때 무삼사(武三思)에게 소아(素娥)라는 기첩이 있어 천하의 절색(絶色)이었으므로, 당시 사대부들이 모두 가서 구경을 하는지라, 적인걸(狄仁傑) 역시 따라가 보았더니, 그녀가 나오지 않고 벽 틈에 숨어서 말하기를 “나는 화월(花月)의 요괴(妖怪)로 상제(上帝)의 명을 받고 공(公; 무삼사를 가리킴)의 마음을 방탕하게 만들려고 내려왔는데, 적공(狄公)은 한 시대의 정인(正人)이므로 내가 만나볼 수 없다.”고 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