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한혈기[汗血驥]~한혈마[汗血馬]~한형주[韓荊州]~한황[漢皇]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322  

한혈기[汗血驥] 천리마의 별칭. 한서(漢書) 무제기(武帝紀)장군 이광리(李廣利)가 대완(大宛)을 정복하고 한혈마를 얻어 왔다.”고 하였다.

한혈마[汗血馬] 피와 같은 땀을 흘린다는 대원(大宛)의 준마(駿馬)이다. 한서(漢書) 무제기(武帝紀)이사 장군(貳師將軍) 이광리(李廣利)가 대원왕(大宛王)의 머리를 베고 한혈마를 잡아 바쳤다.”는 기사가 있다.

한형주[韓荊州] 한 시대에 모든 사람들이 우러르고 사모하는 사람을 알게 되었다는 말로, () 나라 때 명신(名臣) 한조종(韓朝宗)을 말한다. 그가 형주 자사(荊州刺史)로 있을 때에 이백(李白)이 그에게 보낸 편지에 살아서 만호후(萬戶侯)에 봉해질 것이 아니라 다만 한 번 한 형주를 알기 원한다.” 한 데서 유래하였다. <古文眞寶 後集與韓荊州書>

한화야초[閑花野草]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는 곳에서 저절로 자라는 야생 화초를 말한다.

한화유가이[漢貨猶可餌] () 나라의 심유경(沈惟敬) 등이 기미책(羈縻策)을 써서 왜적과 화의(和議)를 맺은 뒤 그들의 군사를 본국으로 철수시킨 것을 말한다.

한화일종명[寒花一種名] 한화(寒花)는 추운 계절에 피는 꽃으로, 보통 국화를 가리킨다. 야국(野菊)도 국화 종류의 하나라는 말이다.

한황[漢皇] 중국 황제의 범칭(汎稱)으로, 중국에서 중세에는 한나라가 대표적인 왕조(王朝)이다.

한후[豻侯] 들개 가죽으로 장식한 과녁.

 

 



번호 제     목 조회
5093 함포[含哺]~함포고복[含哺鼓腹]~함함[顑頷]~함함[唅唅] 2098
5092 함제[含睇]~함지[咸池]~함지욕일[咸池浴日]~함체[陷滯] 2184
5091 함이[含飴]~함인시인[函人矢人]~함장[含章]~함장석[函丈席] 1986
5090 함서[緘書]~함소[咸韶]~함소리[含消梨]~함우주주[銜羽周周] 2017
5089 함벽[銜璧]~함분축원[含憤蓄怨]~함사사영[含沙射影]~함삭[銜索] 2171
5088 함도천묘[含桃薦廟]~함련[頷聯]~함로[銜蘆]~함망[銜芒]~함매[銜枚] 2106
5087 함구묘중인[緘口廟中人]~함궐[銜橛]~함금[緘金]~함노안[銜蘆雁] 1730
5086 함곡관[函谷關]~함공[緘供]~함관자기[函關紫氣] 1821
5085 할마[瞎馬]~할목무전[割目無全]~할육충복[割肉充腹]~함계설향[含雞舌香] 1805
5084 할계[割雞]~할계우도[割鷄牛刀]~할고충복[割股充腹]~할관체[鶡冠體 2078
5083 한혈기[汗血驥]~한혈마[汗血馬]~한형주[韓荊州]~한황[漢皇] 2323
5082 한항금속[寒缸金粟]~한해[瀚海]~한해소조[韓海蘇潮]~한헌제[漢獻帝] 2134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