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장박뢰풍[鋪張薄雷風] 바람과 우레 같은 문장으로써 임금의 공덕을 포장(鋪張)한다는 뜻이다.
♞ 포정안저흠전우[庖丁眼底欠全牛] 식견이나 기예가 높은 경지에 이름을 비유한 말. 소를 잡는 포정이 처음 소를 잡을 적에는 눈에 보이는 것이 다 소뿐이었는데, 3년이 지난 뒤에는 소의 완전한 형태가 눈에 보이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莊子 養生主>
♞ 포정전우[庖丁全牛] 소를 가르는 신기(神技)를 가진 포정(庖丁)이 위(魏) 나라 문혜군(文惠君) 앞에서 그의 기술 연마(鍊磨)의 과정을 술회한 말이다. “처음 신이 소를 기를 때엔 보는 바가 소 아닌 것이 없었지요. 그러다가 3년 뒤에는 일찍이 ‘온전한 소’를 본 적이 없나이다.”라고 하였다. 보는 대상(對象)이 모조리 짝짝 갈려[分析] 보였다는 말이다.
♞ 포정해우[포丁解牛] 포정이 소를 잡는다는 말로, 기술이 매우 뛰어나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 포조[餔糟] 굴자(屈子)는 굴원(屈原)을 가리킨다. 그의 어부사(漁父辭)를 보면 “사람들이 모두 취했다면, 어찌하여 술지게미라도 먹지 않는 것인가.”라고 의문을 제기한 뒤, 세속의 티끌을 뒤집어 쓸 수는 없다는 신념을 피력하고 있다.
♞ 포조[鮑照] 자(字)는 명원(明遠)이다. 언어 구사력이 풍부하고 문장력이 탁월한 그는 일찍이 고악부(古樂府)를 지어 명성을 드날린 바 있고, 하청송(河淸頌)이란 글도 지었는데, 특히 그 서문(序文)이 매우 돋보인다 하여 세조(世祖)가 중서사인(中書舍人)을 제수하였다. <宋書 卷五十一 劉義慶列傳>
♞ 포조계[匏爪繫] 공자(孔子)의 말에 “내가 어찌 박[瓠]이나 오이[瓜]처럼 덩굴에 매어서 다니지 아니하랴.” 하였다.
♞ 포좌[蒲坐] 부들로 짜서 만든 둥근 방석으로, 주로 중이 좌선하거나 무릎을 꿇고 절을 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