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사[波斯] 고대(古代)에 진보(珍寶)를 많이 생산하기로 유명했던 파사국(波斯國)을 가리킨다. 서남아(西南亞)에 위치한 나라로 고대 중국인들에게, 세상에서 가장 값진 보물이 많이 나는 나라로 알려져 전하여 보물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쓰였음. <三寶太鑑 西洋記>
♞ 파사[波斯] 이란의 옛이름인 페르시아를 말한다.
♞ 파사[簸篩] 키질하다.
♞ 파사성[婆娑城] 경기도 여주(驪州)의 소산(小山) 임강(臨江)에 있는 성. 선조(宣祖)때 승려 의엄(義嚴)이 수축한 것이라고 한다. <新增東國輿地勝覽 卷七>
♞ 파사현정[破邪顯正] 사도(邪道)를 타파(打破)하고 정도(正道)를 드러냄을 이른다.
♞ 파산[坡山] 파산은 경기도 파주(坡州)의 옛 이름이다.
♞ 파산인[破山刃] 어떤 농부가 밭을 갈다가 보검을 하나 얻었는데, 어떤 상인이 백만금을 주고 그 칼을 사겠다고 하면서 다음날 찾으러 오겠다고 하였다. 그 농부가 그날 밤 우연히 검을 뽑아서 뜨락에 있는 돌을 가리키자 돌이 그 자리에서 쪼개졌다. 그 다음 날 상인이 돈을 가지고 와서는 탄식하기를 “검광(劍光)이 이미 다했다.”라 하고는, 그 검을 사지 않았다.
♞ 파산중적이파심중적난[破山中賊易破心中賊難] 수양의 어려움.
♞ 파상[灞上] 장안의 동쪽을 남전(藍田) 부근에서 발원하여 북으로 흘러 위수(渭水)에 합류하는 패수(覇水) 강안을 말한다. 파수(灞水)는 패수(覇水)를 말한다. 이곳에 패수를 건너는 다리 패교(覇橋)가 있어 황제가 동쪽으로 출전이나 출행 나갈 때 전별연을 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