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아[偸兒] 한무고사(漢武故事)에 “동도(東都)에서 온 단인(短人)이 동방삭(東方朔)을 가리켜 말하기를 ‘서왕모(西王母)가 심어 놓은 복숭아는 3천 년만에 한 번씩 열매가 여는데, 이 아이 불량하여 벌써 세 차례나 훔쳐먹었다.’고 했다.”라고 하였다.
♞ 투암[投暗] 재능을 알아주기는커녕 오히려 질시와 비난을 받는 것을 말한다. 명주암투(明珠暗投).
♞ 투암암견기[投暗暗見忌] 재질을 완전히 발휘하지 못하게 하는 한심한 세태를 풍자한 말이다. 한(漢) 나라 추양(鄒陽)이 모함을 받고 투옥된 뒤 옥중에서 상소한 글 가운데“깜깜한 길을 비춰 주려고 명월주와 야광벽을 던져 주면, 모두가 칼을 뽑으려 하면서 노려본다.[明月之珠 夜光之璧 以闇投人於道路 人無不按劍相眄者]”라는 대목이 나온다. <史記 卷83 鄒陽列傳>
♞ 투용장[投龍杖] 비장방이 노옹(老翁)을 하직하고 돌아올 때에 노옹은 대막대 하나를 주며 “이것을 타면 절로 집으로 가게 될 터이니, 도착한 뒤에 칡덩굴 언덕[葛陂]에 던져라.”라고 하였다. 비장방은 과연 그대로 던지고, 돌아본즉 용이었다.
♞ 투유객할[投留客轄] 손님을 만류하는 것을 말한다. 한 나라 진준(陳遵)이 술을 즐겨 많이 마시고 손님이 당에 가득할 때에 문을 잠그고 손님의 수레바퀴 비녀장을 우물에 갖다 넣어 아무리 급한 일이 있어도 가지 못하게 하였다 한다.
♞ 투의성[鬪蟻聲] 개미 싸우는 소리란 병들어 신음하는 소리를 가리키는데, 이것은 옛날 진(晉) 나라 은사(殷師)가 있어 개미 싸우는 소리가 소 싸우는 소리처럼 크게 들렸다는 고사에서 나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