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불매조[呵佛罵祖] 불교의 선종(禪宗)에서 쓰는 용어로, 능히 속박에서 벗어나고 집착에서 벗어나 전 시대의 사람들이 다다른 경지를 초월해 더 높은 경지로 올라가는 것을 말하는데, 유가(儒家)의 글에서는 아무런 거리낌 없이 자기 멋대로 행동하는 것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 가불매조[呵佛罵祖] 원래 부처를 꾸짖고 조사를 매도한다는 뜻의 ‘가불매조(呵佛罵祖)’는 일체의 얽매임에서 해방되어 옛 성현의 구속까지도 받지 않고 초월한다는 의미로 쓰인 선종의 용어인데, 뒤에는 거리낌 없이 제멋대로 행동한다는 부정적인 뜻으로 전용(轉用)하게 되었다.
❍ 가불원[柯不遠] 이전의 좋은 법칙을 그대로 본받음을 이른다. 시경(詩經) 빈풍(豳風) 벌가(伐柯)에 “도끼 자루를 베고 도끼 자루를 벰이여 그 법칙이 머지않도다.[伐柯伐柯 其則不遠]”라고 한 데서 온 말로, 즉 손에 쥔 도끼 자루를 가지고 새로 만들 도끼 자루를 헤아림을 의미하는 것이다.
❍ 가불찰재[可不察哉] 살피지 않을 수 있겠는가! 察은 자세히 살핀다는 뜻. 哉는 감탄사로 느낌표 구실을 한다.
❍ 가비[家備] 가병(家兵)이다.
❍ 가비옥이봉[可比屋而封] 요순(堯舜)과 같은 태평 시대를 비유하는 말이다. 한(漢)나라 육가(陸賈)의 신어(新語) 무위(無爲)에 “요순의 백성들은 집집마다 표창을 해 줄 만한 사람이 나오는 데 반하여, 걸주의 백성들은 집집마다 죽일 만한 자들이 나오니, 이는 임금의 교화가 그렇게 만든 것이다.[堯舜之民 可比屋而封 桀紂之民 可比屋而誅者 敎化使然也]”라는 말이 나온다.
❍ 가비옥이봉[可比屋而封] 요순시대 백성들은 모두 성인의 덕에 감화되어 인물이 다 훌륭해져서 사람마다 벼슬을 줄 만했다는 데서 온 말이다. 논형(論衡) 솔성(率性) 전(傳)에 “요순의 백성은 집집마다 봉해 줄만했고, 걸주의 백성은 집집마다 주벌을 당할 만했다.[堯舜之民 可比屋而封 桀紂之民 可比屋而誅]”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