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칠사관잠[七事官箴] 훌륭한 수령이 갖춰야 할 일곱 가지 조목, 즉 농상성(農桑盛), 호구증(戶口增), 학교흥(學校興), 군정수(軍政修), 부역균(賦役均), 사송간(詞訟簡), 간활식(奸猾息)을 말한다. <經國大典 吏典 考課>
♞ 칠상[七相] 칠상은 7인의 재상을 말한다. 한(漢) 나라의 차천추(車千秋)・황패(黃霸)・왕상(王商)・왕가(王嘉)・위현(韋賢)・평당(平當)・위상(魏相)이다.
♞ 칠상고분유벽초[七相古墳惟碧草] 인생의 허무함을 뜻하는 말이다. 칠상은 일곱 재상, 즉 한(漢) 나라 때의 차천추(車千秋)・황패(黃霸)・왕상(王商)・왕가(王嘉)・위현(韋賢)・평부(平富)・위상(魏相)을 가리킨다.
♞ 칠석[七釋]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潛虛丈人 違世遁俗 恬淡淸玄 渾沌淳樸 薄禮愚學 無爲無欲 均同死生 混齊榮辱……”
♞ 칠설[七說] 환린(桓驎)의 아들 환빈(桓彬)의 저작으로 전해지기도 한다.
♞ 칠성[七姓] 후량(後梁)・요(遼)・후당(後唐)・후진(後晉)・후주(後周)・송(宋) 등 7국을 말한다.
♞ 칠성미[七聖迷] 길 잃은 것을 뜻한다. 장자(莊子) 서무귀(徐無鬼)에 “황제(黃帝)를 모시는 일곱 성인[七聖]이 양성(襄城)의 들판에서 길을 잃었다.” 하였다.
♞ 칠성미양야[七聖迷襄野] 황제(黃帝) 등 일곱 성인이 대도(大道)를 찾으러 떠났다가 양성 들판에서 길을 잃고 헤매던 중 목마 동자(牧馬童子)를 만나 천하를 다스리는 법을 얻어듣고는 천사(天師)라고 절을 하고서 물러나왔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莊子 徐无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