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칠착[七鑿] 칠착은 인간의 감각 기관인 귀・눈・입・코의 일곱 개 구멍을 뚫어준다는 뜻이다.
♞ 칠첩[漆帖] 옻칠을 한 책갑(冊匣) 등을 이른다.
♞ 칠칠[七七] 일곱 이레, 칠월 칠석을 달리 이르는 말, 七七齋(사십구일제).
♞ 칠향거[七香車] 각종의 향나무를 가지고 만든 수레를 말한다.
♞ 칠현[七賢] 진(晉)의 죽림칠현(竹林七賢)인 완적(阮籍)・혜강(嵇康)・산도(山濤)・유령(劉伶)・완함(阮咸)・왕융(王戎)・상수(向秀)를 말한다. 이들은 죽림에 모여 소요자적하며 도교적인 생활을 하였다. <晉書 卷四十九 稽康傳>
♞ 칠협[七莢] 명협(蓂莢)은 요(堯) 임금 때 조정의 뜰에 난 서초(瑞草)의 이름인데, 매월 초하룻날부터 15일까지는 날마다 한 잎씩 나서 자라고, 16일부터 그믐까지는 다시 매일 한 잎씩 져서 다하였으므로, 이것을 근거하여 달력을 만들었다고 하는 고사에서, 즉 정월 초이레가 되었음을 이른 말이다.
♞ 칠화[七華]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玄休先生 棄世遁命 藏身于虛廓 絶影于無形……”
♞ 칠환[七歡]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有巖棲先生者 學道養生 離親絶俗……”
♞ 칠흥[七興]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子康子有疾 王先生▣焉曰 駿駔之馬 慉不征路 其荷衡也 曜以驚禽 其卽行也 翬若游鷹 飆駭風逝 電發波騰 影不及形 塵不暇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