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치첩[雉堞] ~ 치초[鵗超] ~ 치현보[治縣譜]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515  

치첩[雉堞] 치첩은 성() 위에 쌓은 성가퀴로 여장(女墻)이라고도 하는데, 지금도 동대문에 남아 있는데, 활쏘는 구멍을 뚫어 놓은 그것이다.

치청산인[豸靑山人] 이개(李鍇). 자는 철군(鐵君)으로 봉천(奉天) 사람이다. 벼슬이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아내와 함께 반산(盤山)에 은거하여 치청봉(豸靑峯) 밑에서 농사를 지었다. 저서로는 함중집(含中集)이 있다.

치초[鵗超] () 나라 때 사람으로 특히 담론(談論)을 잘하였으므로, 일찍이 환온(桓溫)의 참군(參軍)이 되어 극진한 예우를 받았었다.

치치[侈侈] 성한 모양이다.

치치남기취차성[哆侈南箕取次成] 아첨과 참소가 난무한다는 말이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항백(巷伯)약간씩 떨어져 제자리 잡고, 남기성 별자리 이루었구나. 참소하는 저 자들, 누구와 모의하려 저리 바쁜고.[哆兮侈兮 成是南箕 彼譖人者 誰適與謀]”라고 하였다.

치치무포맹[蚩蚩貿布氓] 시경(詩經) 위풍(衛風) ()어수룩한 저 남자, 베 안고 실 사러 찾아왔는데, 실 사러 온 것이 목적이 아닌지라, 나에게 곧장 와서 수작을 붙이누나.[氓之蚩蚩 抱布貿絲 匪來貿絲 來卽我謀]”라는 말이 있다.

치현보[治縣譜] 남제(南齊) 때 부염(傅琰)의 부자가 모두 지방관으로 뛰어난 업적이 있었는데, 사람들이 말하기를 부씨(傅氏) 집안에는 고을을 잘 다스리는 비결을 적은 보첩(譜牒)이 있는데, 자손들에게만 전하고 남에게는 보여주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973 칠발[七發] ~ 칠보시[七步詩] ~ 칠불감[七不堪] 2661
4972 칠략[七略] ~ 칠륜선[七輪扇] ~ 칠매손[七枚飡] ~ 칠묘[七廟] 2411
4971 칠귀[七鬼] ~ 칠귀[七貴] ~ 칠난감[七難堪] ~ 칠덕가[七德歌] ~ 칠도신[漆塗身] 2208
4970 칠관[七款] ~ 칠교[七校] ~ 칠국[七國]] 2203
4969 친자[親炙] ~ 칠거지악[七去之惡] ~ 칠계[七啓] 2576
4968 친년희가구[親年喜可懼]~친라올군[親羅兀軍]~친붕곤곤제명시[親朋袞袞際明時] 2270
4967 치황[緇黃] ~ 치효괴아실[鴟鴞壞我室] ~ 치힐교당선[癡黠較螳蟬] 2184
4966 치첩[雉堞] ~ 치초[鵗超] ~ 치현보[治縣譜] 2516
4965 치절[痴絶] ~ 치조비조[雉朝飛操] ~ 치창시[熾昌詩] ~ 치천[稚川] 2313
4964 치인설몽[痴人說夢] ~ 치자환주[癡子還珠] ~ 치장[植杖] 2202
4963 치의[緇衣] ~ 치이자[鴟夷子] ~ 치이자피[鴟夷子皮] 5249
4962 치우[蚩尤] ~ 치원공니[致遠恐泥] ~ 치원대[致遠臺] ~ 치응료관사[癡應了官事] 4462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