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청편[靑編] ~ 청평사[淸平詞] ~ 청평조[淸平調]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585  

청편[靑編] 사적(史籍)을 지칭하는 말로 쓰인다.

청평[靑萍] 옛날의 보검 이름이다.

청평[淸平] 춘천(春川) 북쪽에 있는 청평산. 경운산(慶雲山)이다.

청평거사[淸平居士] 고려 때의 은사(隱士) 이자현(李資玄)을 가리킨다. 이자현은 일찍이 벼슬을 버리고 전국의 명산을 두루 유람하다가 뒤에 춘천(春川)의 청평산에 들어가 청평거사라 자호하고 선학(禪學) 연구로 여생을 보냈다.

청평검[靑萍劍] 옛날의 보검(寶劍) 이름이다.

청평사[淸平詞] () 나라 현종(玄宗), 작약꽃이 만발한 침향정(沈香亭)에서 양귀비(楊貴妃)를 데리고 놀이하면서, 술에 만취되어 주사(酒肆)에 누워 있던 이백(李白)을 불러다가 악부(樂府)를 짓게 하자 그 자리에서 곧 이를 지어 바쳤는데 이것이 곧 유명한 청평조사(淸平調詞) 3()이다.

청평사[淸平詞] 양귀비(楊貴妃)의 아름다움을 찬양한 시()로서, 삼수(三首)로 되어 있다. 기일(其一)구름 보매 의상 생각나고 꽃 보면 얼굴 연상되는데, 봄바람 난간에 스치고 이슬은 꽃에 짙게 내렸구나. 만약 군옥산 위에서 보지 못한다면, 아마도 요대의 달 아래에서 만나겠지.[雲想衣裳花想容 春風拂檻露華濃 若非群玉山頭見 會向臺月下逢]”라 하였고, 기이(其二)꽃 한 송이 요염하고 향기에 이슬 어렸는데, 무산의 구름과 비는 부질없이 창자만 끊는구나. 여보게나 한() 나라 궁중에 누구와 비슷하려나, 귀엽게도 조비연의 새 단장 말쑥하구려.[一枝濃艶露凝香 雲雨巫山枉斷腸 借問漢宮誰得似 可憐飛燕倚新妝]”라 했으며, 기삼(其三)이름난 꽃과 경국 미인 서로 기뻐하니, 임금님도 항상 웃음띠고 감상하누나. 봄바람에 그지없는 한 풀려고 침향정 북쪽 난간 의지하였네.[名花傾國兩相歡 常得君王帶笑看 解釋春風無限恨 沈香亭北倚欄干]”라고 하였다.

청평악[淸平樂] 가사의 이름. 청아하고 평탄한 악곡이라는 뜻이다.

청평조[淸平調] 악부(樂府)의 곡명(曲名)으로, 당명황(唐明皇)이 달밤에 양귀비(楊貴妃)와 함께 후원에서 놀며, 이태백을 시켜 청평조 3장을 짓게 하였는데, 그 곡조 중에 모란과 양귀비를 비유하여 읊었다.

 

 



번호 제     목 조회
4913 초곡[焦穀] ~ 초관우철선[貂冠又綴蟬] ~ 초교서[焦校書] 4823
4912 초거[軺車] ~ 초경양왕[楚頃襄王] ~ 초계탕천[焦溪湯泉] 4700
4911 초객대상강[楚客對湘江] ~ 초객연패[楚客捐佩] ~ 초객풍림제원자[楚客楓林題怨字] 3113
4910 체용리[體用離] ~ 체원삼화육[體元參化育] ~ 체화승악[棣華承萼] 2627
4909 체동[螮蝀] ~ 체두시[杕杜詩] ~ 체악영[棣萼榮] 5166
4908 청필[淸蹕] ~ 청필삼성[淸蹕三聲] ~ 청한자[淸寒子] 3137
4907 청포[靑蒲] ~ 청풍백로[靑楓白露] ~ 청풍일탑[淸風一榻] 2774
4906 청편[靑編] ~ 청평사[淸平詞] ~ 청평조[淸平調] 5586
4905 청춘치오마[靑春馳五馬] ~ 청출어람[靑出於藍] ~ 청태부[靑苔賦] 3626
4904 청초장시[靑草瘴時] ~ 청총월명선패성[靑塚月明仙佩聲] ~ 청추송옥비[淸秋宋玉悲] 5505
4903 청천[晴川] ~ 청천백일[靑天白日] ~ 청철자삼[靑鐵紫蔘] 2578
4902 청죽게[靑竹偈] ~ 청진[淸塵] ~ 청징[淸澄] 2641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