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둔[嘉遯]~가등[賈鄧]~가라수[加羅守]~가락[嘉樂]~가락시[假樂詩]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915  

가둔[嘉遯] 아름다운 은둔(隱遁). 정의에 맞는 은둔을 말한다주위의 칭찬을 받으면서 물러나는 것으로 흔히 정상에 있을 때 또는 사람들에게 아쉬운 마음이 들 때 물러나는 것이다.

가득이불가견[可得而不可見] 터득할 수는 있지만 볼 수는 없음. 곧 마음으로 터득할 수는 있지만 눈으로 볼 수는 없다[可心得而不可目見]는 뜻이다.

가등[賈鄧] 가등은 광무제(光武帝) 초기의 명장인 가복(賈復)과 등우(鄧禹)를 합칭한 것이다. 가복은 일찍이 광무제를 도와 청독군(靑犢軍)을 크게 격파하여 큰 공훈을 세우고서 대장군(大將軍)과 도호장군(都護將軍)을 역임하고, 교동후(膠東侯)에 봉해졌다. 등우는 본래부터 광무제와 친교(親交)가 있었는데 광무제를 도와서 천하를 평정하여 벼슬이 대사도(大司徒)에 이르렀고, 운대 이십팔장(雲臺二十八將) 가운데 제일공신(第一功臣)이 되었다.

가라수[加羅守] 가라의 수령이라는 뜻이다. 가라는 가라홀(加羅忽)의 준말로, 고구려(高句麗) 때의 간성의 명호(名號)이다.

가락[嘉樂] 가락(假樂)으로 쓰기도 한다. 시경(詩經) 가락(假樂)아름답고 즐거운 군자여, 드러나고 드러난 훌륭한 덕이로다. 백성에게 마땅하고 신하에게 마땅하니, 하늘에서 복록을 받는구나. 보호하고 도우며 명하시고, 하늘로부터 거듭 베풀어지도다.[嘉樂君子 顯顯令德 宜民宜人 受祿于天 保佑命之 自天申之]”라고 하였다.

가락시[假樂詩] 가락은 시경(詩經) 대아(大雅)의 편명으로 녹을 구하고 백복(百福)을 얻은지라 자손이 천()이며 억()이로다. 목목하고 황황하여 제후에게 마땅하고 천자에게 마땅하다.[干祿百福 子孫千億 穆穆皇皇 宜君宜王]”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5309 가반[加頒]~가배지법[加倍之法]~가배회소곡[嘉俳會蘇曲]~가벌[家閥]~가벽[加璧] 1830
5308 가무경[歌無競]~가무담석[家無擔石]~가무입장안[歌舞入長安]~가미[價米] 1742
5307 가목[假牧]~가목가[稼牧家]~가묘[假廟]~가묘사당[家廟祠堂] 1871
5306 가매[假寐]~가명사가인[佳茗似佳人]~가명인세[假名因勢]~가모[家母]~가모[加耗] 1985
5305 가마[珂馬]~가마[賈馬]~가마[加麻]~가망[加望] 1716
5304 가릉지회[柯陵之會]~가리[假吏]~가리비도[可離非道]~가림[賈林]~가립이대[可立而待] 1781
5303 가릉[嘉陵]~가릉[歌菱]~가릉강[嘉陵江]~가릉빈가[迦陵頻伽] 2125
5302 가롱성진[假弄成眞]~가루[家累]~가루견보[架漏牽補]~가류[苛留]~가륭[嘉隆] 1923
5301 가례[加禮]~가례[嘉禮]~가례의절[家禮儀節]~가로[家老]~가록[加錄] 1964
5300 가려지[佳麗地]~가련[可憐]~가렴[價廉]~가렴주구[苛斂誅求]~가령[家令] 2014
5299 가란[柯爛]~가람[岢嵐]~가람[伽藍]~가랑선[賈浪仙]~가래모[歌來暮] 1648
5298 가둔[嘉遯]~가등[賈鄧]~가라수[加羅守]~가락[嘉樂]~가락시[假樂詩] 1916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