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산석여랑[山石女郞] ~ 산시[刪詩]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577  
♞산석여랑[山石女郞] 산석의 글귀란 바로 한유(韓愈)의 산석(山石) 시를 말하고, 여랑(女郞)의 시란 곧 여인같이 온순한 풍의 시를 뜻한다. 원(元) 나라 때의 시인 원호문(元好文)의 논시절구(論詩絶句)에 “정이 있는 작약은 봄 눈물을 머금었고 기력 없는 장미는 저녁 가지가 누웠다(이상은 송나라 진관(秦觀)의 시임) 하니, 이를 한퇴지의 ‘산석’ 시에 대조해 보면, 이것이 여랑의 시임을 비로소 알리라.[有情芍藥含春淚 無力薔薇臥晩枝 拈出退之山石句 始知渠女郞詩]”한 데서 온 말로, 즉 송(宋) 나라 진관(秦觀)의 시를 한유의 ‘산석’ 시와 비유하면 한유의 시는 장부에 해당하고, 진관의 시는 여랑에 해당한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韓昌黎集 卷三>
♞산선[散仙] 산선은, 선계(仙界)에도 관부(官府)의 일이 있다고 봄에 따라 즉 직무가 없는 신선이란 뜻이다.
♞산설[霰雪] 싸라기눈이다.
♞산수조[山水操] 전국 시대 진에 멸망당한 조왕(趙王)이 자기 고향이 그리워서 지은 노래이다. <淮南子 泰族訓>
♞산수주아현[山水奏牙絃] 백아가 태산에다 뜻을 두고 거문고를 타자, 종자기(鍾子期)가 “좋다, 높다란 태산 같도다.”하더니, 백아가 다시 유수(流水)에다 뜻을 두고 거문고를 타자, 종자기는 또 “좋다, 양양한 강하 같구나.”라고 했다는 데서 온 말이다.
♞산시[刪詩] 사기(史記) 공자세가(孔子世家)에, “고대의 시가 3천여 편이었는데, 공자가 그 중복된 것을 버리고 예악(禮樂)에 시용(施用)될 만한 것을 취택하여 3백 5편으로 산정(刪正)했다.”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521 산음아[山陰鵝] ~ 산인[散人] 4320
520 산음방선인[山陰榜船人] ~ 산음승흥객[山陰乘興客] 4039
519 산용[山龍] ~ 산융[山戎] 3900
518 산옹[筭甕] ~ 산왕종괴오군편[山王終愧五君篇] 3808
517 산양려[山陽侶] ~ 산양택[山陽宅] 3882
516 산양[山陽] ~ 산양기왕년[山陽記往年] 4240
515 산석여랑[山石女郞] ~ 산시[刪詩] 4578
514 산산[汕汕] ~ 산서호기[山西豪氣] 4268
513 산보[山甫] ~ 산붕[山棚] 4263
512 산명수려[山明水麗] ~ 산무욕성의[山霧欲成衣] 3829
511 산락[蒜酪] ~ 산림처사[山林處士] 3893
510 산구화옥[山丘華屋] ~ 산동서지장상[山東西之將相] 4654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