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산양[山陽] ~ 산양기왕년[山陽記往年]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240  
♞산양[山陽] 삼국 시대 위(魏) 나라의 이른바 죽림칠현(竹林七賢)이 노닐었던 하내(河內)의 산양현(山陽縣)을 말한다. 그런데 죽림칠현 가운데 완적(阮籍)과 완함(阮咸)이 들어 있었던 관계로, 간혹 숙질(叔姪)간의 즐거운 모임에 빗대기도 한다.
♞산양[山陽] 옛날에 친구와 함께 놀던 곳을 말한다. 죽림칠현(竹林七賢)이 모여서 노닐었던 혜강(嵇康)의 우거(寓居)로, 중국 하내(河內)의 산양현(山陽縣)에 있었다. 혜강이 죽은 뒤에 상수(向秀)가 그곳을 지나다가 누군가가 부는 젓대 소리를 듣고는 혜강과 여안(呂安)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금할 수가 없어서 사구부(思舊賦)를 지었다고 한다. <晉書 向秀傳>
♞산양감구[山陽感舊] 죽은 친구를 그리워하는 것을 말한다. 산양은 하남(河南)에 있는 지명으로, 진(晉) 나라의 혜강(嵇康), 상수(向秀) 등이 일찍이 이곳에 살면서 죽림(竹林)의 놀이를 하였다. 그 뒤에 상수가 산양 땅을 지나면서 누군가가 부는 젓대 소리를 듣고는 죽은 친구인 혜강과 여안(呂安)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금할 수가 없어서 사구부(思舊賦)를 지었다고 한다.
♞산양객[山陽客] 진(晉) 나라 향수(向秀)가 산양(山陽)을 지나다가 날이 저물었는데, 피리[笛] 소리를 듣고 죽은 친구 혜강(嵇康)․완적(阮籍)과 그곳에서 놀던 것을 생각하여 사구부(思舊賦)를 지었다.
♞산양관원[山陽灌園] 춘추 시대의 고사(高士)인 진중자(陳仲子)가 벼슬을 마다하고 아내와 함께 산양(山陽)으로 피해 가서 남의 집 전원(田園)을 가꿔 주며 살았다 한다.
♞산양구여[山陽舊侶] 죽림칠현(竹林七賢)처럼 막역하게 어울려 노닐던 친구들이라는 말이다. 진(晉) 나라 혜강(嵇康)의 우거(寓居)인 하내(河內) 산양현(山陽縣)에 죽림칠현들이 모이곤 했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三國志 卷21 魏書 王粲傳>
♞산양기왕년[山陽記往年] 막역한 벗들끼리 고향 산골에서 즐겁게 노닐던 추억을 말한다. 삼국 시대 위(魏) 나라의 이른바 죽림칠현(竹林七賢)이 혜강(嵆康)의 우거(寓居)인 하내(河內) 산양현(山陽縣)의 죽림에서 노닌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三國志 卷21 魏書 王粲傳 註>
 
 



번호 제     목 조회
521 산음아[山陰鵝] ~ 산인[散人] 4320
520 산음방선인[山陰榜船人] ~ 산음승흥객[山陰乘興客] 4040
519 산용[山龍] ~ 산융[山戎] 3901
518 산옹[筭甕] ~ 산왕종괴오군편[山王終愧五君篇] 3808
517 산양려[山陽侶] ~ 산양택[山陽宅] 3882
516 산양[山陽] ~ 산양기왕년[山陽記往年] 4241
515 산석여랑[山石女郞] ~ 산시[刪詩] 4578
514 산산[汕汕] ~ 산서호기[山西豪氣] 4268
513 산보[山甫] ~ 산붕[山棚] 4263
512 산명수려[山明水麗] ~ 산무욕성의[山霧欲成衣] 3829
511 산락[蒜酪] ~ 산림처사[山林處士] 3894
510 산구화옥[山丘華屋] ~ 산동서지장상[山東西之將相] 4654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