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일중구오[日中九烏] ~ 일지건곤[一指乾坤] ~ 일지선[一指禪]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071  

일중구오[日中九烏] () 시대에 해[]가 열개나 생겨나니 초목이 타고 마르므로 활 잘 쏘는 예(羿)를 시켜서 아홉 해를 쏘아서 떨어뜨렸는데, 해 가운데 세발 까마귀[三足鳥]가 들어 있었다 한다.

일지[壹志] 뜻이 한결같다.

일지[一枝] 뱁새가 깊은 숲에 둥우리를 짓는 데 있어 필요한 것은 나뭇가지 하나에 불과하다는 데서 온 말로, 전하여 자신의 분수를 뜻한다.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넓은 숲 속에서 새가 차지하는 보금자리는 나뭇가지 하나에 불과하다.[鷦鷯巢於深林 不過一枝]”고 하였다.

일지[一指]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 곽상주(郭象注)지인(知人)은 천지(天地)가 한 개의 손가락이고 만물이 한 필의 말[]임을 안다[天地一指也 萬物一馬也]. 그러므로 호연(浩然)히 영정(寧定)되어 천지 만물이 그 분위(分位)를 얻고 자득(自得)에 동일(同一)하여 시()도 비()도 없다.”고 하였다.

일지건곤[一指乾坤]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천지는 하나의 손가락이요, 만물은 하나의 말[]이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일지상관[一枝尙寬] “뱁새()는 깊은 수풀에 집을 지어도 한 가지[]로 짓는다.”고 하였다. <莊子>

일지선[一指禪] 전등록(傳燈錄) 금화구지전(金華俱胝傳)어느 중이 천룡을 찾아가니 천룡이 손가락 하나를 세워 법을 보여주므로 중은 크게 깨쳤다. 그는 죽으면서 하는 말이 나는 천룡 일지두선(一指頭禪)을 얻어서 일생을 못다 먹고 간다.’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85 백학[白鶴] ~ 백학귀[白鶴歸] 5082
484 삼배통대도[三杯通大道] ~ 삼백편[三百篇] 5084
483 가두[賈杜] ~ 가라수[加羅守] ~ 가란[柯爛] 5085
482 숙복[宿福] ~ 숙불환생[熟不還生] 5085
481 서자생추[徐子生蒭] ~ 서자호[西子湖] 5086
480 마고[麻姑] ~ 마고소양[麻姑搔痒] 5086
479 갈관[鶡冠] ~ 갈등[葛藤] 5086
478 강락[康樂] ~ 강랑한부[江郞恨賦] 5088
477 중랑아대[中郞阿大] ~ 중랑지절[中郞持節] ~ 중랑초미금[中郞焦尾琴] 5089
476 일휘[一麾] ~ 일휘출수[一麾出守] 5091
475 오불관언[吾不關焉] ~ 오비삼척[吾鼻三尺] ~ 오비토주[烏飛兎走] 5092
474 가타[伽陀] ~ 가풍[家風] 5094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