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오불관언[吾不關焉] ~ 오비삼척[吾鼻三尺] ~ 오비토주[烏飛兎走]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095  

오불관언[吾不關焉] 나는 상관하지 아니한다. 또는 그러는 태도를 이른다. 袖手傍觀.

오불효[五不孝] 다섯 가지 불효의 행동을 이른다. 곧 게으름, 노름과 술을 즐김, 재물을 좋아하고 자기 처자식만 중하게 여김, 환락을 탐미함, 만용(蠻勇)으로 싸우기를 잘함이다.

오비[烏椑] 감의 일종이다.

오비[鰲扉] 오비는 학사원(學士院)의 별칭으로 학곡을 가리킨다.

오비삼척[吾鼻三尺] 내 코가 석 자. 곧 곤경에 처하여 자기 일도 감당할 수 없는데, 어찌 남을 도울 수가 있겠는가의 뜻이다.

오비이락[烏飛梨落]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남의 혐의를 받기 쉬운 우연의 일치를 이른다.

오비이락[烏飛梨落] 까마귀 날자 배가 떨어짐. ‘공교롭게도 어떤 일이 우연히 같은 때에 일어나 남의 의심을 받게 됨을 비유하는 말이다. 오비이락 파사두(烏飛梨落 破蛇頭)

오비일색[烏飛一色] 날고 있는 까마귀가 모두 같은 빛깔이라는 뜻으로, 모두 같은 종류 또는 피차 똑같음을 이르는 말이다.

오비토주[烏飛兎走] 세월(歲月)이 빠름을 이른다. 오토[烏兎:금오(金烏)와 옥토(玉兎)]. 해 속에는 세 발 달린 까마귀가 살고 달 속에는 토끼가 산다는 전설에서 나온 말로, 일월(日月), 곧 해와 달. 전하여, 세월을 이른다

 

 



번호 제     목 조회
473 백첩[白疊] ~ 백첩건[白疊巾] 5100
472 자사[紫絲] ~ 자산수[子山愁] ~ 자산출천[刺山出泉] 5100
471 예상[霓裳] ~ 예상우의[霓裳羽衣] ~ 예상우의곡[霓裳羽衣曲] 5102
470 가타[伽陀] ~ 가풍[家風] 5104
469 건안[建安] ~ 건원사덕[乾元四德] 5104
468 자경금[紫瓊琴] ~ 자경누호아[子卿累胡娥] ~ 자경적노[子卿適虜] 5104
467 정령위[丁令威] ~ 정립신인[鼎立神人] 5106
466 계명구폐[鷄鳴狗吠] ~ 계모행료[溪毛行潦] 5106
465 건장[建章] ~ 건즐[巾櫛] 5106
464 구야자[歐冶子] ~ 구약현하[口若懸河] 5107
463 강영과[江盈科] ~ 강유겸전[剛柔兼全] 5108
462 주경[周京] ~ 주계군[朱溪君] 511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