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최졸옹[崔拙翁] ~ 최해주[崔海州]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112  
♞최졸옹[崔拙翁] 졸옹은 최해(崔瀣)의 호. 예산농은(猊山農隱)이라고도 한다.
♞최중령[崔中令] 최충(崔冲). 그는 현종(顯宗) 때로부터 문종(文宗) 때까지 문(文)·무(武)의 큰 공으로 중서문하성령(中書門下省令)이 되고, 아들 유선(惟善)이 중서령(中書令), 유길(惟吉)은 상서령(尙書令)이 되어, 왕이 베푸는 국로연(國老宴)에 두 아들이 아버지를 부액(扶掖)하고 참예하니, 희한한 성사(聖事)라 일렀다. <高麗史 崔冲傳>
♞최최[崔崔] 산이 우뚝하게 높은 모양, 높고 큰 모양.
♞최해[崔瀣] 경주인(慶州人)인데 자는 언명(彦明)이고 호는 졸옹(拙翁)이다. 고려 충숙왕(忠肅王) 8년에 원(元)의 제과(諸科)에 합격하여 개주 판관(蓋州判官)에 제수되었는데 병을 칭탁하고 본국으로 돌아와 검교성균대사성(檢校成均大司成)이 되었다. 이지현의 폐흥(廢興)의 전말을 기록한 비문을 지었다.
♞최해주[崔海州] 광해군 8년 해주 목사(海州牧使)로 있으면서 이른바 ‘해주옥(海州獄)’을 다스렸던 최기(崔沂)를 말한다. 이때 이이첨(李爾瞻)의 일파인 박희일(朴希一)과 박이빈(朴以彬)을 무고죄로 처형하여 이이첨의 미움을 받은 나머지 남형죄(濫刑罪)로 투옥되어 고문을 받고 옥사(獄死)했으며, 뒤에 다시 대역죄(大逆罪)로 몰려 멸문(滅門)의 화를 당하면서 부관참시(剖棺斬屍)되었다. <國朝人物考>
 
 



번호 제     목 조회
461 주경[周京] ~ 주계군[朱溪君] 5106
460 정장[靚粧] ~ 정저지와[井底之蛙] 5108
459 팔좌[八座] ~ 팔좌신[八座臣] 5108
458 고어[皐魚] ~ 고어지사[枯魚之肆] 5108
457 자황[紫皇] ~ 자황어[雌黃語] 5109
456 장전[張顚] ~ 장전선[張錢選] ~ 장전익[章全益] 5110
455 회문[回文] ~ 회문시[廻文詩] 5111
454 백판[白板] ~ 백팔음중지일심[百八音中只一心] 5112
453 최노[崔盧] ~ 최북[崔北] 5112
452 최졸옹[崔拙翁] ~ 최해주[崔海州] 5113
451 직[稷] ~ 직궁증부[直躬證父] 5114
450 이로[李老] ~ 이루[離婁] 5115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