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일벌백계[一罰百戒] ~ 일병위전석[一病違銓席] ~ 일부이미[一稃二米]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145  

일벌백계[一罰百戒] 한 사람에게 벌을 줌으로써 백 사람에게 경계(警戒)를 삼도록 한다. 한 번 본때를 보여 만인에게 훈계하는 효과를 얻음을 이른다.

일변[日邊] 경성(京城)의 별칭이다. 동진(東晉)의 명제(明帝)가 어렸을 적에 부왕인 원제(元帝)로부터 장안(長安)과 해[] 중에 어떤 것이 거리가 먼지 물음을 받고 대답한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世說新語 夙惠>

일변[日邊] 천자의 곁이란 말이다.

일병위전석[一病違銓席] 전조(銓曹), 즉 이조(吏曹)의 참판(參判)으로 있다가 병이 들었다는 말이다.

일보불양[一步不讓] 남에게 한 걸음도 양보(讓步)하지 않음을 이른다.

일부[一夫] 은왕(殷王) ()가 포악한 정치를 하므로 주무왕(周武王)이 쳐서 죽였는데, 뒤에 맹자(孟子)가 말하기를 ()가 민심을 잃었으니 일부(一夫), 임금이 아니므로 죽임이 옳다.”고 하였다.

일부이미[一稃二米] 검은 기장을 이른다. 시경(詩經) 대아(大雅) 생민(生民)維秬維秠에 대한 주희(朱熹)의 전()()는 검은 기장을 말하고, ()는 검은 기장으로서 한 껍데기에 두 톨의 알이 들어 있는 것을 가리킨다.”고 하였다.

일부일처[一夫一妻] 한 남편에 한 아내만 있음.

 

 



번호 제     목 조회
437 위여조로[危如朝露] ~ 위염[魏冉] 5138
436 순거[鶉居] ~ 순경[順卿] 5144
435 종소[終宵] ~ 종수탁타전[種樹槖駝傳] 5146
434 계리[計吏] ~ 계림황엽[雞林黃葉] 5146
433 일벌백계[一罰百戒] ~ 일병위전석[一病違銓席] ~ 일부이미[一稃二米] 5146
432 주각우금한호씨[注脚于今恨胡氏] ~ 주객전도[主客顚倒] 5147
431 강장하무약병[强將下無弱兵] ~ 강적[羌笛] 5147
430 은[隱] ~ 은괄[檃栝] 5149
429 취우[驟雨] ~ 취우혼처총허명[吹竽混處摠虛名] 5149
428 별파[撇波] ~ 별학조[別鶴操] 5150
427 쟁산[崢山] ~ 쟁신론[爭臣論] 5150
426 순공오타운[郇公五朶雲] ~ 순금[舜琴] 5156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