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일연[日淵] ~ 일엽락 천하지추[一葉落天下知秋] ~ 일엽지추[一葉知秋]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151  

일연[日延] 날로 이어지다(전해지다).

일연[日淵] 우연(虞淵)으로, 전설 속의 해가 져서 들어가는 곳이다. 회남자(淮南子) 천문훈에 해가 우연에 도달하는 것을 일러 황혼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일엽[一葉] 가을을 표현한 말이다. 당인(唐人)의 시에 산 중은 갑자 셀 줄 모르고, 나뭇잎 떨어지면 가을 왔다 생각하네.[山僧不解數甲子 一葉落知天下秋]”라고 하였다.

일엽고주[一葉孤舟] 넓은 물 위에 뜬 한 조각의 외로운 배. 쓸쓸하고 고독함을 비유하는 말이다.

일엽락 천하지추[一葉落天下知秋] 나뭇잎 하나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천하가 가을이 온 것을 안다는 뜻으로 하찮은 조짐을 보고도 앞으로 일어날 일을 미리 알 수 있다.

일엽지추[一葉知秋] 하나의 낙엽이 가을이 왔음을 알게 해준다. 한 가지 일을 보고 앞으로 있을 일을 미리 안다는 말로 쓰이기도 하고, 쇠망의 조짐을 비유해서 쓰이기도 한다.

일엽추[一葉秋] 입추(立秋)가 되면 오동나무 잎사귀 하나가 떨어진다고 한다. 그래서 한 잎사귀가 떨어지면 아, 가을이 왔다 하는 감을 갖게 한다고 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25 장두백전[杖頭百錢] ~ 장득아손유로분[長得兒孫有老盆] 5149
424 자유[子游] ~ 자유유섬계[子猷遊剡溪] ~ 자유섬계[子猷剡溪] 5149
423 일연[日淵] ~ 일엽락 천하지추[一葉落天下知秋] ~ 일엽지추[一葉知秋] 5152
422 중상모략[中傷謀略] ~ 중상지기[仲翔知己] ~ 중서삼책[仲舒三策] 5158
421 이유염매[爾惟鹽梅] ~ 이육[二陸] ~ 이윤성지임[伊尹聖之任] 5159
420 편방[偏旁] ~ 편사[偏師] 5160
419 옥횡[玉橫] ~ 온거[轀車] ~ 온교취태[溫嶠醉態] 5161
418 정승[定僧] ~ 정시지음[正始之音] 5162
417 피차일반[彼此一般] ~ 필갈양단[必竭兩端] 5163
416 개옥[改玉] ~ 개유불망[蓋帷不忘] 5164
415 서저[棲苴] ~ 서절구투[鼠竊狗偸] 5165
414 정가식객[鄭家食客] ~ 정강화[靖康禍] 5165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