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두릉[杜陵] ~ 두릉인[杜陵人]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744  
♞두릉[杜陵] 두릉은 오늘날 섬서(陝西) 서안시(西安市) 동남에 있던 지명이다. 두릉(杜陵)에 거하며 두릉포의(杜陵布衣)라고 자호(自號)했던 당(唐) 나라 시인 두보(杜甫)를 가리키기도 한다.
♞두릉계졸[杜陵計拙] 당 나라 시인 두보(杜甫)는 생계가 곤궁하여 늘 타향을 떠돌아다녔다.
♞두릉노[杜陵老] 두릉(杜陵)에 살았던 당(唐) 나라 시인 두보(杜甫)를 말한다. 이백(李白)과 함께 당대(唐代) 시인의 쌍벽(雙璧)으로 일컬어지는 불후의 시성(詩聖)으로서, 두릉야로(杜陵野老)라고 자호(自號)하기도 하였다.
♞두릉대아질소사[杜陵大雅軼騷些] 두릉은 당(唐) 나라 시인 두보(杜甫)를 가리킨 말이고, 대아는 곧 큰 문장이라는 뜻이다. 초소(楚騷)는 춘추시대 초(楚) 나라 굴원(屈原)의 이소경(離騷經)을 말한 것으로, 즉 두보의 문장이 굴원보다 훌륭하다는 뜻이다.
♞두릉야로[杜陵野老] 당(唐) 나라 시인 두보(杜甫)를 말한다.
♞두릉옹[杜陵翁] 당(唐) 나라 때의 시인으로 호가 소릉(少陵)인 두보(杜甫)를 높여 이른 말이다.
♞두릉인[杜陵人] 난리로 인해 떠돌이 생활을 하며 우국(憂國)의 심정을 읊었던 두보(杜甫)를 말한다.
 
 



번호 제     목 조회
365 두압[杜鴨] ~ 두양[杜陽] 5031
364 두수삼년적[杜叟三年笛] ~ 두십이[杜十姨] 3912
363 두사[蠹死] ~ 두솔궁[兜率宮] 4193
362 두방[杜房] ~ 두보배두견[杜甫拜杜鵑] 5043
361 두무악[頭無岳] ~ 두미삼전[斗米三錢] 5597
360 두모[杜母] ~ 두목호주거교지[杜牧湖州去較遲] 4460
359 두릉증식노장군[杜陵曾識老將軍] ~ 두림칠서[杜林] 5042
358 두릉[杜陵] ~ 두릉인[杜陵人] 4745
357 우마주[牛馬走] ~ 우맹종비위오[優孟終非蔿敖] 4934
356 우림[羽林] ~ 우림천군[羽林天君] 3936
355 우록왕손초[又綠王孫草] ~ 우린[于鱗] 4419
354 우락[牛酪] ~ 우로지택[雨露之澤] 5313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