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요[魏姚] 위요는 ‘요씨 집의 황색 모란과 위씨 집의 자색 모란’이라는 뜻의 ‘요황 위자(姚黃魏紫)’를 줄인 말로, 송(宋) 나라 구양수(歐陽脩)의 견문록(見聞錄)에 “낙양에서는 예전에 꽃을 바치지 않았는데, 이상적(李相迪)이 유수(留守)로 있을 때 처음으로 바치기 시작하였으나, 그때는 요황 위자 몇 송이에 불과하였다.”라는 구절이 있다.
♞위요황자[魏姚黃紫] 희귀해서 귀중하게 여겨지는 모란꽃의 품종이다. 송대(宋代) 구양수(歐陽脩)의 ‘낙양모란기(洛陽牡丹記)’에 “서민인 요씨(姚氏)의 집 모란은 일천 개 이파리에 노란 꽃이 피고 위상 인부(魏相仁溥)의 집 모란은 일천 개 이파리에 붉은 꽃이 피는데, 이것이 바로 유명한 요황 위자(姚黃魏紫)이다.”라는 말이 나온다.
♞위우동[委羽洞] 절강성(浙江省) 황암현(黃巖縣)에 있는 위우산(委羽山)의 골짜기로 도가서(道家書)에서 말하는 동천(洞天)의 하나. 세상에서 선인(仙人) 유봉림(劉奉林)이 학(鶴)을 붙잡다가 깃을 떨어뜨린 곳이라 한다.
♞위원충[魏元忠] 당 나라 송성(宋城) 사람으로 중종(中宗) 때에 중서령(中書令)을 지냈다. <新․舊唐書 魏元忠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