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효표론[孝標論] 효표(孝標)는 남조 양(南朝梁) 나라 유준(劉峻)의 자(字)로, 그가 지은 광절교론(廣絶交論)이 유명하다.
♞ 효함[崤函] 하남(河南)의 험요지(險要地)인 효산(崤山)과 함곡관(函谷關)을 가리킨다.
♞ 효회호음[鴞懷好音] 덕을 닦아서 오랑캐들까지 감화시킴을 이른다. 시경(詩經) 노송(魯頌) 반수(泮水)에 “날으는 저 올빼미, 반궁의 숲에 앉아서, 우리 뽕 열매를 먹고는, 우리 좋은 소리에 감화되도다.[翩彼飛鴞 集于泮林 食我桑葚 懷我好音]”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효효[嘐嘐] 이상(理想)이 높아서 옛 사람만 본받으려 한다는 뜻이다.
♞ 효효[曉曉] 교묘하게 말하는 모양.
♞ 효효[憢憢] 두려워하는 모양.
♞ 효효[嘵嘵] 두려워하는 소리.
♞ 효효[哮哮] 많은 짐승이 울부짖는 소리.
♞ 효효[囂囂] 뭇 소리가 시끄러운 모양, 뭇 사람이 원망하고 근심하는 소리나 모양, 남의 말을 받아들이는 모양, 제 분에 만족하여 다른 것을 바라지 않는 모양, 허무한 모양.
♞ 효휴애일[孝虧愛日] 오래 할 수 없는 것은 어버이를 섬기는 일이라, 효자는 날을 아낀다[愛日]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