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경[家經] 대대로 전해온 가학(家學)을 말한다. 한(漢) 나라 때 경학자(經學者)인 위현(韋賢)의 학덕(學德)이 천하에 가장 높아서 벼슬이 승상(丞相)에 이르렀는데, 그의 아들 위현성(韋玄成) 또한 명경(明經)으로 발탁되어 벼슬이 승상에 이르렀던 데서 온 말이다.
❍ 가경[家慶] 배가경(拜家慶)의 준말로, 오랜만에 집에 돌아와서 어버이를 뵙고 문안 인사를 올리는 것을 말한다.
❍ 가경[嘉慶] 청(淸) 인종(仁宗)의 연호이다.
❍ 가경리[嘉慶李] 당(唐)나라 위술(韋述)의 양경기(兩京記)에 “동도의 가경방에 오얏나무가 있는데, 그 열매가 달고도 고와서 경성의 아름다운 과실이 되었기 때문에 이를 가경리라 일컬었다.[東都嘉慶坊有李樹 其實甘鮮 爲京城之美 故稱嘉慶李]”라고 하였다.
❍ 가계[假繼] 가모(假母)나 계모(繼母)를 말한다. 한서(漢書) 형산왕사전(衡山王賜傳)의 안사고(顔師古) 주(注)에 의하면, 가모(假母)는 계모(繼母)로, 아버지의 방처(旁妻)라 하기도 한다.
❍ 가계[假髻] 가발(假髮)을 땋아 만든 머리 장식으로, 옛날에 부녀자들이 머리 장식용으로 썼다. 가결(假結), 가계(假紒) 등으로도 표기한다.
❍ 가계[假髻] 부인(婦人)의 머리숱을 더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머리카락으로, 일종의 가발이다. 다리・가결(假結)・가두(假頭)라고도 한다.
❍ 가계[家雞] 집에서 기르는 닭. 전(轉)하여 내 집에 있는 물건을 이른다. 진(晉) 나라의 유익(庾翼)이 글씨를 잘 써서 처음에는 왕희지(王羲之)와 이름이 나란하였다. 이에 자기의 서법을 집 닭에다 비유하고 왕희지의 서법을 들꿩[野雉]에다가 비유하였다. 그 뒤에 왕희지는 필법이 더욱 진보하여 유익의 아들들조차 아버지의 필체를 배우지 아니하고 왕희지의 필체를 배웠다. 그러자 그가 말하기를 “우리 아이들은 집 안에 있는 닭은 싫어하고 들판에 있는 꿩을 좋아한다.”라고 하였다. <太平御覽 卷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