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문시리[聞詩鯉] ~ 문약반[捫籥盤] ~ 문염무희[文恬武嬉]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716  

문시리[聞詩鯉] ()는 공자의 아들인데 공자가 일찍이 혼자 있을 때 이가 추장하여 뜰을 지나니 공자가 묻되 ()를 배웠느냐.”라 하였다.

문신[文身] 교룡(蛟龍) 등의 해를 피하기 위하여 몸에 무늬를 새겨 넣고 나체(裸體)로 지내는 남방 오랑캐 부족을 뜻하는 말이다.

문심[文沈] 문징명(文徵明)과 심사(沈仕)이다. 모두 명() 나라 사람으로 그림과 시문에 이름이 높았다.

문약반[捫籥盤] 사실을 잘못 안 것을 말한다. 소식의 일유(日喩)에서 나온 말로서 세상에 태어나 해를 못 본 소경이 옆 사람에게 해의 모양을 물으니 해는 구리반과 같다 하였는데 두들겨보니 소리가 나므로 종소리를 듣고 해로 알았고, 또 해의 빛이 어떠하냐고 물으니 촛불과 같다 하였는데 촛대와 같이 생긴 젓대를 만져보고 햇빛으로 알았다고 한다.

문양소[汶陽篠] 문양에서 나는 가느다란 대인데, 이 대는 특히 생()과 화살을 만드는 데에 가장 적합하여 명물(名物)로 일컬어진 것이므로, 전하여 훌륭한 인품을 비유한 것이다.

문어[文魚] 잉어, 또는 날개가 있어 날 수 있는 물고기이다.

문여가[文與可] 여가는 송() 나라 때 문동(文同)의 자이다. 문동은 시문(詩文)과 서화(書畫)에 모두 뛰어났다.

문연각[文淵閣] 내각(內閣)의 한 관청이다. <明史 職官志>

문열[文烈] 고려 때의 충신으로서 시호가 문렬인 이조년(李兆年)을 가리킨다.

문염무희[文恬武嬉] 한유(韓愈)의 글에서 나온 말인데, 나라를 걱정할 줄 모르고 문관과 무관이 안일(安逸)에 빠져 향락이나 한다는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529 대곡서당[大谷書堂] ~ 대공무사[大公無私] ~ 대공선[大空禪] 2714
4528 수무[修武] ~ 수묵쟁[輸墨爭] ~ 수문[脩門] 2714
4527 문시리[聞詩鯉] ~ 문약반[捫籥盤] ~ 문염무희[文恬武嬉] 2717
4526 유검[遺劍] ~ 유게주남사자헌[留憩周南使者軒] ~ 유견쟁지타작훤[惟見爭枝墮雀喧] 2717
4525 양제변하추랭락[煬帝汴河秋冷落] ~ 양조[煬竈] ~ 양졸[養卒] 2722
4524 우호[憂瓠] ~ 우화단[雨花壇] ~ 우화서피[虞龢舒被] 2722
4523 유서재[柳絮才] ~ 유서차색[有書借索] ~ 유선진일몽[游仙眞一夢] 2722
4522 상당[上黨] ~ 상대[霜臺] ~ 상돈[上暾] 2724
4521 우위락행[憂違樂行] ~ 우유초[牛乳草] ~ 우의경허이[牛蟻驚虛耳] 2726
4520 담점[黕點] ~ 담천[談天] ~ 담치[湛熾] 2727
4519 용사세[龍蛇歲] ~ 용사원[龍沙怨] ~ 용사참[龍蛇讖] 2730
4518 역신생적자[逆臣生賊子] ~ 역약조공[亦若曹公] ~ 역양륜평호[歷陽淪平湖] 2732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