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역신생적자[逆臣生賊子] ~ 역약조공[亦若曹公] ~ 역양륜평호[歷陽淪平湖]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775  

역신생적자[逆臣生賊子] 당 현종(唐玄宗)의 총애를 받던 안녹산이 마침내 반란을 일으켰는데, 안녹산 역시 아들 경서(慶緖)에게 시해(弑害) 당한 사실을 말한다. <新唐書 安祿山傳>

역씨[酈氏] 북위(北魏) 때 형주 자사(荊州刺史)를 지낸 역도원(酈道元)으로 수경주(水經注)를 찬()했다.

역약조공[亦若曹公] 조교(曹交)가 맹자(孟子)에게 묻기를 사람마다 요순(堯舜)이 될 수 있다니, 그렇습니까.”라 하니, 맹자가 그렇다.”고 하였다.

역양[櫟陽] 중국 섬서(陝西) 임동현(臨潼縣) 동북쪽에 있는 땅 이름. 한 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의 아버지 무덤이 있는 곳이다.

역양[嶧陽] 산동성(山東省)에 있는 역산(嶧山)의 남쪽이란 뜻으로, 이 산의 남쪽에서 오동나무가 자라는데, 이 오동으로 금()을 만들면 아주 좋다고 한다.

역양륜평호[歷陽淪平湖] 역양성(歷陽城)이 하룻밤 사이에 땅속으로 내려앉아 마호(麻湖)라는 큰 호수가 되었다는 고대의 전설이 있다. <淮南子 俶眞訓>

 

 



번호 제     목 조회
4529 수병[守甁] ~수복진성야리행[繡服眞成夜裏行]~ 수부사군[繡斧使君] 2772
4528 담점[黕點] ~ 담천[談天] ~ 담치[湛熾] 2773
4527 대곡서당[大谷書堂] ~ 대공무사[大公無私] ~ 대공선[大空禪] 2773
4526 부서[扶胥] ~ 부서[賦芧] ~ 부서혁군[腐鼠嚇君] 2773
4525 창해구석[滄海驅石] ~ 창해군[倉海君] ~ 창해일속[滄海一粟] 2773
4524 양제변하추랭락[煬帝汴河秋冷落] ~ 양조[煬竈] ~ 양졸[養卒] 2774
4523 위성섭고란[威聲讋皐蘭] ~ 위성춘[渭城春] ~ 위쇄[餧殺] 2774
4522 우호[憂瓠] ~ 우화단[雨花壇] ~ 우화서피[虞龢舒被] 2775
4521 아녀[兒女] ~ 아녀풍운[兒女風雲] ~ 아노목하전가업[阿奴目下傳家業] 2776
4520 역신생적자[逆臣生賊子] ~ 역약조공[亦若曹公] ~ 역양륜평호[歷陽淪平湖] 2776
4519 상당[上黨] ~ 상대[霜臺] ~ 상돈[上暾] 2777
4518 민고완심육[民苦剜心肉] ~ 민공[旻公] ~ 민락[閩洛] 2778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