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우위락행[憂違樂行] ~ 우유초[牛乳草] ~ 우의경허이[牛蟻驚虛耳]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765  

우위락행[憂違樂行] 세상일이 마음에 맞으면 나가 일을 하고 마음과 어긋나면 피한다는 뜻이다. <周易 乾卦>

우유부단[優柔不斷] 어물저물하며 딱 잘라 결단(決斷)을 내리지 못한다.

우유초[牛乳草] 파초의 일종. 달걀만한 씨알이 소의 젖모양으로 생겨 얻어진 이름이다. <本草 甘蕉>

우의[牛衣] 소가 춥지 않도록 덮어 주는 덕석을 말한다. () 나라 왕장(王章)이 병든 몸으로 덮을 것이 없자 우의를 뒤집어쓰고 누웠다[臥牛衣中]는 고사가 전한다. <漢書 王章傳>

우의[羽衣] 우의는 새의 깃으로 만든 옷인데, 신선이 날아다닌다는 뜻을 취하여 신선의 옷을 상징하는 말이다.

우의[寓意] 자기의 생각을 다른 사물(事物)에 비유해서 은근히 나타내는 것. 인물, 행위, 그리고 때로는 배경이 축자적(逐字的) 즉 일차적 의미층에 있어 논리 정연한 말이 될 뿐만 아니라, 상관관계를 맺고 있는 제2차적 인물, 개념, 사건도 가리키도록 고안된 이야기이다.

우의[羽儀] 주역(周易) 점괘(漸卦) 상구효(上九爻)에서 나온 말로, 지위도 높고 재덕(才德)도 겸비하여 다른 이의 모범이 되는 것을 말한다.

우의경허이[牛蟻驚虛耳] 노환으로 귀가 제대로 들리지 않음을 비유한 말. () 나라 때 은중감(殷仲堪)의 아버지 사()가 일찍이 귀를 앓아, 와상 밑에서 개미가 움직이는 소리를 듣고 소가 싸우는 소리로 잘못 알았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晉書 卷八十四>

 

 



번호 제     목 조회
4529 수병[守甁] ~수복진성야리행[繡服眞成夜裏行]~ 수부사군[繡斧使君] 2772
4528 담점[黕點] ~ 담천[談天] ~ 담치[湛熾] 2773
4527 대곡서당[大谷書堂] ~ 대공무사[大公無私] ~ 대공선[大空禪] 2773
4526 부서[扶胥] ~ 부서[賦芧] ~ 부서혁군[腐鼠嚇君] 2773
4525 창해구석[滄海驅石] ~ 창해군[倉海君] ~ 창해일속[滄海一粟] 2773
4524 양제변하추랭락[煬帝汴河秋冷落] ~ 양조[煬竈] ~ 양졸[養卒] 2774
4523 위성섭고란[威聲讋皐蘭] ~ 위성춘[渭城春] ~ 위쇄[餧殺] 2774
4522 우호[憂瓠] ~ 우화단[雨花壇] ~ 우화서피[虞龢舒被] 2775
4521 아녀[兒女] ~ 아녀풍운[兒女風雲] ~ 아노목하전가업[阿奴目下傳家業] 2776
4520 역신생적자[逆臣生賊子] ~ 역약조공[亦若曹公] ~ 역양륜평호[歷陽淪平湖] 2776
4519 상당[上黨] ~ 상대[霜臺] ~ 상돈[上暾] 2777
4518 민고완심육[民苦剜心肉] ~ 민공[旻公] ~ 민락[閩洛] 2778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