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병석[甁錫] ~ 병수[甁水] ~ 병안시[病眼詩]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814  

병석[甁錫] 승려들이 사용하는 병발(甁鉢)과 석장(錫杖)으로, 곧 승도(僧徒)를 뜻한다.

병성[帲箵] 병성은 수레 위에 먼지를 막는 대자리이다. 후한(後漢) 때 공순(孔恂)이 주()의 별가(別駕)로 있었는데, 별가의 수레에는 본디 병성이 있었던바, 이 때 자사(刺史)가 마침 부()를 순행하려면서 날이 저물자 자사가 노하여 별가의 수레에 있는 병성을 제거하려 하므로, 공순이 말하기를 명사군(明使君)께서 스스로 늦게 출발하면서 국가의 제도인 병성을 제거하면 되겠는가. 별가는 버릴 수 있어도 병성은 생략할 수 없다.”라 하며 완강하게 거부하니, 자사가 마침내 사과하고 병성을 제거하지 않았다는 고사가 있다.

병수[甁水] 인도(印度)의 풍속에 손님을 맞으면 이쑤시개[楊枝]와 향수(香水) 등을 내놓기 때문에 중들이 수도할 때도 손님이 오면 그렇게 하는데, 이것을 양지정수(楊枝淨水)라 한다.

병수복수[甁收覆水] 엎지러진 물 병에 담는다는 말로 강태공(姜太公)의 전처(前妻)가 일찍이 강태공이 미천했을 때 태공을 버리고 갔다가 태공이 부귀한 뒤에 다시 합하기를 원하자, 태공이 엎질러진 물은 다시 쓸어 담을 수 없다는 뜻으로 그를 거절한 고사에서 온 말이다.

병안시[病眼詩] 백거이(白居易)의 병안화시(病眼花詩)를 이르는데, 백낙천시후집(白樂天詩後集) 10에 나타나 있다.

 

 



번호 제     목 조회
4505 욕소필연[欲燒筆硯] ~ 욕일[浴日] ~ 욕전[浴殿] 2810
4504 용무[龍武] ~ 용문[龍門] 2810
4503 응거[應璩] ~ 응념원유난[應念遠遊難] ~ 응대여류[應對如流] 2810
4502 명례항[明禮巷] ~ 명리[明离] ~ 명막군[冥漠君] 2811
4501 무검기[舞劍器] ~ 무계로[武溪路] ~ 무고무필[無固無必] 2811
4500 밀덕[密德] ~ 밀로[密老] ~ 밀수금총[蜜殊琴聰] 2811
4499 수견[隨肩] ~ 수결천장[手抉天章] ~ 수경[水經] 2812
4498 채옹초미금[蔡邕焦尾琴] ~ 채원정[蔡元定] ~ 채의환[彩衣歡] 2812
4497 미루[迷樓] ~ 미륵사[彌勒寺] ~ 미명왕한유[彌明枉韓愈] 2814
4496 여우렴[呂友濂] ~ 여원[戾園] ~ 여원분서장벽실[慮遠焚書藏壁室] 2814
4495 도행[跳行] ~ 도현[道玄] ~ 도형인[禱衡人] 2815
4494 동척[銅尺] ~ 동천[僮千] ~ 동천남도공잉주[東遷南渡孔仍朱] 2815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