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용무[龍武] ~ 용문[龍門]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798  

용무[龍武] 금군(禁軍)의 명칭. () 나라 금군에 좌우용무군(左右龍武軍)이 있었다.

용문[龍門] 경기도 양평군(楊平郡) 용문면에 있는 산. 남한강 줄기가 거쳐가는 곳이기도 하다.

용문[龍門] 명망이 높은 인물의 저택을 뜻하는 말이다.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 이응(李膺)의 집을 찾아와 마루에 오르도록 허락을 받으면, 모두 용문에 올랐다.[登龍門]”고 하면서 영광스럽게 여겼던 고사가 전한다. <世說新語 德行>

용문[龍文] 용문은 명검(名劍)인 간장(干將)의 별칭이다.

용문[龍門] 용문은 황하(黃河) 상류에 위치한 곳으로 잉어가 이곳을 뛰어올라야 용()이 된다고 하는데, 사람의 출세를 비유한 말이다.

용문[龍門] 용문처사(龍門處士) 남격(南格). 동강(東岡), 언경(彦經)의 아들로서 조식(曹植)과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이다.

용문[龍文] 웅건한 문장(文章)이나 시를 말한다.

용문[龍門] 하남성(河南省) 낙양(洛陽)의 서쪽에 있는 산 이름으로, 옛날에 우() 임금이 치수(治水)할 적에 이 용문산이 하수(河水)의 물길을 가로막고 있으므로 파내었다고 한다.

용문[龍門] 후한(後漢)의 이응(李膺)이 조정이 날로 어지러워지고 나라의 기강이 무너질 때 남달리 탁월한 식견을 지녀 천하에 그 이름이 높았는데, 선비들 가운데 혹시 그의 허여와 접대를 받은 자가 있으면 용문에 올랐다는 칭호가 붙었다. <後漢書 卷六十七 李膺傳>

용문[龍門] 영도의 동쪽 성문.

용문[龍門] 용문은 산서성(山西省) 하진현(河津縣)에 있는 나루인데 이곳은 물이 험하여 고기들이 올라오지 못한다. 이 때문에 강에서 몰려온 큰 고기떼가 용문에 모여 올라오려 하는데 만일 올라오면 용이 된다 한다.

용문[龍門] 용문은 황하의 급류가 쏟아져 내리는 협곡으로, 옛날 우 임금이 즐풍목우(櫛風沐雨)하며 홍수를 다스릴 적에 용문을 뚫었다는 기록이 회남자(淮南子) 수무훈(修務訓)에 나온다.

용문[龍門] 지금의 섬서성 한성시(韓城市) 부근으로 태원 북쪽에서 발원하여 산서성을 대각선으로 가로질러 흐르는 분수(汾水)가 하수(河水)와 만나는 곳이다. 그 북쪽에 용문산(龍門山)이 있다.

 

 



번호 제     목 조회
4505 완화일[浣花日] ~ 완화자분[玩火自焚] ~ 완화촌[浣花村] 2799
4504 용무[龍武] ~ 용문[龍門] 2799
4503 무검기[舞劍器] ~ 무계로[武溪路] ~ 무고무필[無固無必] 2801
4502 밀덕[密德] ~ 밀로[密老] ~ 밀수금총[蜜殊琴聰] 2801
4501 욕소필연[欲燒筆硯] ~ 욕일[浴日] ~ 욕전[浴殿] 2801
4500 응거[應璩] ~ 응념원유난[應念遠遊難] ~ 응대여류[應對如流] 2801
4499 명례항[明禮巷] ~ 명리[明离] ~ 명막군[冥漠君] 2802
4498 여우렴[呂友濂] ~ 여원[戾園] ~ 여원분서장벽실[慮遠焚書藏壁室] 2802
4497 채옹초미금[蔡邕焦尾琴] ~ 채원정[蔡元定] ~ 채의환[彩衣歡] 2802
4496 초엽록[蕉葉鹿] ~ 초왕대[楚王臺] ~ 초왕운몽[楚王雲夢] 2802
4495 미루[迷樓] ~ 미륵사[彌勒寺] ~ 미명왕한유[彌明枉韓愈] 2803
4494 도행[跳行] ~ 도현[道玄] ~ 도형인[禱衡人] 2804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