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무산십이봉[巫山十二峯] ~ 무산운우[巫山雲雨]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106  
♞무산십이봉[巫山十二峯] 망하(望霞)·취병(翠屛)·조운(朝雲) · 송만(松巒)·집선(集仙)·취학(聚鶴)·정단(淨壇)·상승(上昇)·기운(起雲)·비봉(飛鳳)·등룡(登龍)·성천(聖泉)인데, 바로 선경을 말한다. <方輿勝覽>
♞무산우운[巫山雨雲] 초 양왕(楚襄王)이 고당(高唐)에서 놀다가 낮잠을 자는데 꿈에 한 부인이 와서 “여기에 임금님이 계시다는 말을 듣고 왔으니, 원컨대 침석을 같이 해 주십시오.”하므로, 하룻밤을 같이 잔 뒤, 이튿날 아침에 부인이 떠나면서 “저는 무산의 양지쪽 높은 언덕에 사는데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됩니다.”하였다는 고사이다. <宋玉 高唐賦>
♞무산운우[巫山雲雨] 무산운우는 송옥(宋玉)의 고당부서(高唐賦序)에, “첩(妾)은 무산(巫山)의 남쪽 고구(高丘)의 깊숙한 데 있어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되며, 아침저녁으로 양대(陽臺)의 아래서 보낸다.”하였으므로, 뒷사람이 이를 근거하여 운우(雲雨)로써 남녀의 정사에 비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125 십일정민[什一征民] ~ 십주[十洲] 6181
124 장영사계노추두[長纓思繫老酋頭] ~ 장오[檣烏] ~ 장왕[長往] 6181
123 간두지세[竿頭之勢] ~ 간득[看得] 6182
122 중랑아대[中郞阿大] ~ 중랑지절[中郞持節] ~ 중랑초미금[中郞焦尾琴] 6183
121 수후[隨侯] ~ 수후지주[隨侯之珠] 6187
120 장중울[張仲蔚] ~ 장지[張摯] ~ 장지화[張志和] 6187
119 일하무혜경[日下無蹊徑] ~ 일한념아제포재[一寒念我綈袍在] ~ 일한수념여[一寒誰念汝] 6193
118 진량[진良] ~ 진령사[榛苓思] ~ 진뢰[陳雷] 6204
117 장주[掌珠] ~ 장주류생주[莊周柳生肘] ~ 장주지몽[莊周之夢] 6206
116 임방[林放] ~ 임방애객[任昉愛客] ~ 임비[任鄙] 6208
115 죽지[竹枝] ~ 죽지곡[竹枝曲] ~ 죽지애[竹枝哀] 6210
114 장송탁여라[長松托女蘿] ~ 장송풍일[長松風日] ~ 장수[藏脩] 6219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