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최호[崔顥] ~ 최화과갈고[催花過羯鼓]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035  
♞최호[崔顥] 최호는 당 현종(唐玄宗) 때의 시인인데 일찍이 무창(武昌)의 황학루(黃鶴樓)에 올라가 지은 시가 이백(李白)의 극찬을 받은 일을 비롯하여 세상 사람들의 입에 회자됨으로써 등루시(登樓詩)의 명작으로 꼽힌다.
♞최호음청천[崔灝吟晴川] 당나라 시인(詩人) 최호(崔顥)가 황학루(黃鶴樓)에 올라서 지은 시에 “비 갠 강에 한양의 나무 역력하다[晴川歷歷漢陽樹].”라는 구가 있다.
♞최화과갈고[催花過羯鼓] 서방의 갈(羯)이라는 부족(部族)이 치는 북이다. 그것이 중국으로 들어와서 유행되는데, 그 중에도 현종이 제일 잘 쳤다. 어느 날 이원(梨園)에서 새로 작곡한 관현악을 연주한다 하여 화악루(花萼樓) 아래에서 연주하였는데, 그 작곡이 매우 잘못되어서 현종이 그것을 중지하도록 명령하고 다시 “갈고(羯鼓)를 가져오라. 이 더러운 소리를 들은 것을 씻겠다.” 하고, 갈고를 가져다가 한 곡조 쳤더니 그 때에 아직 봄이 일러 꽃봉오리가 피지 않았는데도, 그 곡조가 끝나면서 그 근처의 꽃들이 일시에 피었다 한다. 그래서 현종은 누가 나더러 하느님만 못하다고 하겠는가, 하고 좋아하였다 한다.
 
 



번호 제     목 조회
5081 강서사[江西社] ~ 강설현상[絳雪玄霜] 모두 5072
5080 서자[西子] ~ 서자몽부결[西子蒙不潔] 5071
5079 쌍아탁곤[雙鵝坼坤] ~ 쌍운회문[雙韻廻文] 5069
5078 가모[假母] ~ 가무담석[家無擔石] ~ 가문[嘉聞] 5067
5077 무산고[巫山高] ~ 무산모우[巫山暮雨] 5059
5076 태산석감당[泰山石敢當] ~ 태산퇴양목괴[泰山頹梁木壞] 5059
5075 죽각[竹閣] ~ 죽계육일[竹溪六逸] ~ 죽고[粥鼓] 5059
5074 하충[夏蟲] ~ 하침대무[河沈大巫] 5056
5073 소상반죽[瀟湘班竹] ~ 소상일안[瀟湘一岸] ~ 소상후어[蕭相後語] 5056
5072 일배승지작일원[一倍乘之作一元] ~ 일백팔반[一百八盤] ~ 일번화[一番花] 5055
5071 옥수지란[玉樹芝蘭] ~ 옥수후정화[玉樹後庭花] ~ 옥순반[玉筍班] 5053
5070 가부좌[跏趺坐] ~ 가부희[假婦戲] 5051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