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춘반[春盤] ~ 춘부장[椿[春]府丈]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135  
♞춘반[春盤] 입춘일(立春日)에 춘병(春餠)과 생채(生菜)를 만들어 먹는 것을 말한다.
♞춘방[春坊]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동궁(東宮) 즉 세자궁(世子宮)을 가리킨다.
♞춘방[春坊] 태자(太子)의 궁전인 춘궁(春宮)을 달리 일컫는 말이다.
♞춘번[春幡] 봄이 왔음을 뜻하는 깃발. 입춘일에 문앞에 세워 봄이 돌아온 상징으로 삼았다.
♞춘번[春幡] 춘번이란 금(金)·은(銀)·나(羅)·채(綵) 등으로 만든 꾸미개, 즉 번승(旛勝)을 이른다. 옛날 입춘일(立春日)이면 이것을 백관(百官)들에게 나누어주어서 이를 복두(幞頭) 위에 달고 입조(入朝)하여 하례를 올리게 하였는데, 하례를 마치고 나서는 각각 이를 복두 위에 단 채로 귀가(歸家)했다고 한다.
♞춘복성[春服成] “봄 3월에 봄 옷이 이미 되었거든 관자 5, 6명과 동자 6, 7명과 기수에 목욕하고 무우에 바람 쏘이고, 읊으며 돌아오리이다.” 증점(曾點)이 공자 앞에서 뜻을 말한 말이다. <論語>
♞춘복초성려경지[春服初成麗景遲] 공자가 제자들에게 각자의 뜻을 말하라 하였더니 다른 제자들은 모두 정치에 뜻을 두었으나, 증점(曾點)만은 “늦은 봄, 봄옷이 만들어지면 관을 쓴 어른 5~6명과 동자 6~7명과 함께 기수(沂水)에 목욕하고 무우(舞雩)에 바람 쏘이며 시를 읊고 돌아오겠습니다.” 하니 공자는 외물(外物)에 구하지 않는 그의 높은 뜻을 허여하였다 한다.
♞춘부장[椿[春]府丈] 살아 계신 남의 아버지를 일컫는다.
 
 



번호 제     목 조회
5249 장평[長平] ~ 장평갱[長平坑] ~ 장평자[張平子] 6200
5248 중방제결[衆芳鶗鴂] ~ 중부[仲孚] ~ 중산[中散] 6195
5247 진선[晉宣] ~ 진성운조차어린[陣成雲鳥次魚鱗] ~ 진소왕[秦昭王] 6187
5246 장포[漳浦] ~ 장포자리거[漳浦子離居] ~ 장풍파랑[長風破浪] 6173
5245 증예[烝乂] ~ 증유진[甑有塵] ~ 증점슬[曾點瑟] 6172
5244 마외[馬嵬] ~ 마외혈오[馬嵬血汚] 6170
5243 왕자교[王子喬] ~ 왕자량[王子良] 6170
5242 중계약훈호[仲季若塤箎] ~ 중과부적[衆寡不敵] ~ 중구난방[衆口難防] 6169
5241 진과자미[秦瓜自美] ~ 진관[秦觀] ~ 진교편석[秦橋鞭石] 6145
5240 주묵사[朱墨史] ~ 주묵필[朱墨筆] ~ 주문연[主文硏] 6143
5239 중산[中山] ~ 중산방만낙양서[中山謗滿樂羊書] ~ 중산참방[中山讒謗] 6141
5238 춘반[春盤] ~ 춘부장[椿[春]府丈] 6136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