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번안[飜案] ~ 번영[繁纓]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304  
♞번안[飜案] 옛사람의 시문(詩文)을 원안으로 하여 이리저리 고침을 말한다.
♞번약[繁弱] 번약은 옛날 하후씨(夏后氏)가 썼다는 명궁(名弓)의 이름이다.
♞번여[煩拏] 어지럽다. 번거롭다.
♞번여[璠璵] 노(魯) 나라의 보옥(寶玉)으로, 일찍이 공자(孔子)가 이르기를 “아름답도다, 번여여! 멀리서 바라보면 광휘가 찬란하고, 가까이서 보면 곱기도 하구나.”하였다. 보통 미덕(美德)을 지닌 현재(賢才)를 지칭한다.
♞번연삼빙[幡然三聘] 이윤이 처음에는 출세할 생각이 없었다가 은(殷)의 임금 탕(湯)이 세 번이나 사자를 보내어 초빙한즉 그는 맘을 돌려서, “나는 장차 이 백성들을 요순(堯舜)의 백성으로 만들겠다.”하고 나왔다.
♞번영[繁纓] 번(繁)은 말의 배대끈이고 영(纓)은 굴레인데, 제후의 말 장식을 말할 때 쓰는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237 장씨지족[張氏知足] ~ 장안미[長安米] ~ 장안살불오[莊雁還宜殺不嗚] 5376
5236 무산십이봉[巫山十二峯] ~ 무산운우[巫山雲雨] 5375
5235 진과자미[秦瓜自美] ~ 진관[秦觀] ~ 진교편석[秦橋鞭石] 5368
5234 장수양[張睢陽] ~ 장수유식[藏修游息] ~ 장숙야[張叔夜] 5365
5233 주하사[柱下史] ~ 주하수[柱下叟] ~ 주해추[朱亥椎] 5336
5232 곽외[郭隗] ~ 곽희[郭熙] 5335
5231 숙헌[叔獻] ~ 숙홀[儵忽] 5332
5230 조주[趙州] ~ 조주인[釣周人] 5332
5229 주려[周廬] ~ 주련벽합[珠聯璧合] ~ 주로[朱鷺] 5332
5228 수후[隨侯] ~ 수후지주[隨侯之珠] 5330
5227 자기야상우두고[紫氣夜上牛斗高] ~ 자기출서관[紫氣出西關] ~ 자니[紫泥] 5323
5226 자장[子長] ~ 자장격지[自將擊之] ~ 자장유[子長遊] 5323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