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번오기[樊於期] ~ 번옹해사[樊翁解事]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049  
♞번오기[樊於期] 태어난 해는 알 수 없고 기원전 227년에 죽었다. 전국 말 때 진나라 장수였으나 진시황에게 반기를 들어 난을 일으켰으나 성공하지 못하고 연나라로 도망쳐 태자단(太子丹)에게 몸을 의탁했다. 진시황이 진나라에 남아있던 그의 부모와 처 및 자식들을 모두 죽이고 그의 목에 천금의 현상금을 걸고 잡으려고 했으며 그가 연나라로 도망갔다는 것을 알자 대군을 일으켜 연나라를 공격했다. 형가(荊軻)가 태자단에게 진왕을 암살하기 위해서 그에게 가까이 접근하려면 번오기의 목과 독항의 지적도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태자단이 번오기를 차마 죽일 수 없다고 말하자 형가가 은밀히 번오기를 만나 진왕을 죽이기 위해서는 그의 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번오기는 형가의 말을 듣고 스스로 자기의 목을 베어 죽었다. 형가가 번오기의 목과 비수가 감쳐진 독항의 지적도를 가지고 진왕을 배알하다가 찔러 죽이려고 했으나 미수에 그쳤다.
♞번옹해사[樊翁解事] 번옹은 당 나라 시인 두목(杜牧)을 지칭한 말로 그의 호가 번천(樊川)이다. 그가 양주(楊州)에서 회남(淮南) 절도사우승유(牛僧孺)의 막료로 있으면서 몰래 기루(妓樓)를 출입할 때 지은 견회(遣懷)란 시에, “십 년에 한 번 양주 꿈을 깨니, 청루에서 박정하다는 이름만 실컷 얻었네.[十年一覺楊州夢 嬴得靑樓薄倖名]”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149 자암[紫巖] ~ 자앙[子昂] ~ 자야가[子夜歌] 6140
148 장실[丈室] ~ 장실봉산[藏室蓬山] ~ 장심문[將心問] 6146
147 자포자기[自暴自棄] ~ 자포파[紫袍把] ~ 자표지문[赭豹之文] 6147
146 장창[張敞] ~ 장창무치[張蒼無齒] ~ 장채[章蔡] 6147
145 장씨지족[張氏知足] ~ 장안미[長安米] ~ 장안살불오[莊雁還宜殺不嗚] 6149
144 장원백[壯元柏] ~ 장원정[長源亭] ~ 장위위[張衛尉] 6153
143 장재[長齋] ~ 장재명[張載銘] ~ 장적[張籍] 6157
142 주려[周廬] ~ 주련벽합[珠聯璧合] ~ 주로[朱鷺] 6161
141 자씨[慈氏] ~ 자악묘석[子惡苗碩] ~ 자안[子安] 6167
140 자진곡구[子眞谷口] ~ 자진귀[子晉歸] ~ 자천소오인[自薦笑吾人] 6168
139 천도외신[天都外臣] ~ 천도휴영이익겸[天道虧盈而益謙] 6172
138 주사[柱史] ~ 주사소단조[柱史燒丹竈] ~ 주사직[朱絲直] 6172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