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승고월하문[僧敲月下門] ~ 승납[僧臘]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165  
♞승고월하문[僧敲月下門] 가도의 시구이다. 어느 날 가도는 서울에서 나귀를 타고 가면서 고심 끝에 이 시를 지었는데, 처음에는 고(敲)자를 퇴(推)자로 쓰려 하였다. 그러나 퇴자가 나은지 고자가 나은지를 선뜻 결정치 못하고 열심히 생각하며 가다가, 당시 경조윤(京兆尹) 한유(韓愈)의 수레와 충돌하였다. 한유는 그를 힐책하였더니, 가도는 사실대로 대답하였다. 그러자 한유는 고자가 좋겠다 말하고 그와 말머리를 나란히 하여 시를 논하였다 한다.
♞승교지[昇橋志] 사마상여가 서촉을 떠나 장안(長安)으로 향할 때에 성도(成都) 북쪽의 승선교(昇仙橋)를 지나면서 “고관대작(高官大爵)의 수레를 타지 않고서는 이 다리를 건너지 않겠다.[不乘赤車駟馬 不過汝下]”라고 다리 기둥에 글을 써 붙였던 고사가 있다.
♞승기[承旗] 깃발을 세우다.
♞승기[乘箕] 은(殷) 나라 재상(宰相) 부열(傅說)은 죽은 뒤에 기성(箕星)을 타고 하늘에 올랐다 한다.
♞승납[僧臘] 승(僧)이 수계(受戒)를 받은 뒤의 햇수를 말한다.
 
 



번호 제     목 조회
137 주처[周妻] ~ 주천리[珠千履] ~ 주촉[晝燭] 6141
136 자씨[慈氏] ~ 자악묘석[子惡苗碩] ~ 자안[子安] 6142
135 자진곡구[子眞谷口] ~ 자진귀[子晉歸] ~ 자천소오인[自薦笑吾人] 6143
134 장유입한광대양[長孺入漢光大梁] ~ 장유타여[長孺墮輿] ~ 장윤[張允] 6145
133 주야장천[晝夜長川] ~ 주언륜[周彦綸] ~ 주역[周易] 6150
132 자여씨[子與氏] ~ 자여예리[子輿曳履] ~ 자연도태[自然淘汰] 6152
131 대은[大隱] ~ 대은은조시[大隱隱朝市] 6161
130 중랑아대[中郞阿大] ~ 중랑지절[中郞持節] ~ 중랑초미금[中郞焦尾琴] 6161
129 장수양[張睢陽] ~ 장수유식[藏修游息] ~ 장숙야[張叔夜] 6165
128 승고월하문[僧敲月下門] ~ 승납[僧臘] 6166
127 주현[朱弦] ~ 주현백설[朱絃白雪] ~ 주현위군절[朱絃爲君絶] 6167
126 수후[隨侯] ~ 수후지주[隨侯之珠] 6168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