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승고월하문[僧敲月下門] ~ 승납[僧臘]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522  
♞승고월하문[僧敲月下門] 가도의 시구이다. 어느 날 가도는 서울에서 나귀를 타고 가면서 고심 끝에 이 시를 지었는데, 처음에는 고(敲)자를 퇴(推)자로 쓰려 하였다. 그러나 퇴자가 나은지 고자가 나은지를 선뜻 결정치 못하고 열심히 생각하며 가다가, 당시 경조윤(京兆尹) 한유(韓愈)의 수레와 충돌하였다. 한유는 그를 힐책하였더니, 가도는 사실대로 대답하였다. 그러자 한유는 고자가 좋겠다 말하고 그와 말머리를 나란히 하여 시를 논하였다 한다.
♞승교지[昇橋志] 사마상여가 서촉을 떠나 장안(長安)으로 향할 때에 성도(成都) 북쪽의 승선교(昇仙橋)를 지나면서 “고관대작(高官大爵)의 수레를 타지 않고서는 이 다리를 건너지 않겠다.[不乘赤車駟馬 不過汝下]”라고 다리 기둥에 글을 써 붙였던 고사가 있다.
♞승기[承旗] 깃발을 세우다.
♞승기[乘箕] 은(殷) 나라 재상(宰相) 부열(傅說)은 죽은 뒤에 기성(箕星)을 타고 하늘에 올랐다 한다.
♞승납[僧臘] 승(僧)이 수계(受戒)를 받은 뒤의 햇수를 말한다.
 
 



번호 제     목 조회
5273 준원전[濬源殿] ~ 준의한재하탑빈[准擬寒齋下榻頻] ~ 준조절충[樽俎折衝] 5562
5272 장중울[張仲蔚] ~ 장지[張摯] ~ 장지화[張志和] 5551
5271 십일정민[什一征民] ~ 십주[十洲] 5551
5270 주후방[肘後方] ~ 주후혜문[柱後惠文] ~ 주휘[朱暉] 5548
5269 진소유[秦少游] ~ 진수성찬[珍羞盛饌] ~ 진승[陳勝] 5548
5268 마외[馬嵬] ~ 마외혈오[馬嵬血汚] 5542
5267 덕기[德驥] ~ 덕불고필유린[德不孤必有隣] ~ 덕성[德星] 5530
5266 승고월하문[僧敲月下門] ~ 승납[僧臘] 5523
5265 증행언[贈行言] ~ 지각[芝閣] ~ 지강급미[舐糠及米] 5523
5264 연분부[年分簿] ~ 연비어약[鳶飛魚躍] ~ 연빙계[淵氷戒] 5521
5263 주접접위주[周蝶蝶爲周] ~ 주정[周鼎] ~ 주정상물[鑄鼎象物] 5516
5262 순자강[鶉子江] ~ 순제갱가[舜帝賡歌] 5514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