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십일정민[什一征民] ~ 십주[十洲]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550  
♞십일정민[什一征民] 십일세. 삼대(三代) 때 농경지(農耕地)에 적용한 정전법(井田法)에서 수입의 십분의 일을 조세(租稅)로 국가에 납부하던 제도를 말한다.
♞십일지국[十日之菊] 국화는 9월 9일이 그 절정이므로 이미 때가 늦었다는 뜻. 또는 국화는 핀 지 9일 되는 날이 절정이므로 이미 때가 늦었다는 말이다.
♞십전[十銓] 인재를 가리는 데 있어 한 사람에 대하여 열 차례의 전형을 거치는 제도이다. 당(唐) 나라 때 본래는 삼전(三銓)이었으나, 호부 시랑 우문융(宇文融)이 건의하여 십전의 제도를 만들어서 예부 상서 소정(蘇頲) 등에게 나누어 주관하도록 했었다. <唐書 選擧志>
♞십전구도[十顚九倒] 여러 가지 고생을 겪음을 말한다.
♞십주[十洲] 도가(道家)에서 말하는 바다 가운데에 있어서 신선들이 산다고 하는 열 개의 산을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선경(仙境)을 가리킨다. 해내십주기(海內十洲記)에 “한 무제(漢武帝)가 이미 서왕모(西王母)가 말한 팔만(八萬)의 큰 바다 가운데에 조주(祖洲), 영주(瀛洲), 현주(玄洲), 염주(炎洲), 장주(長洲), 원주(元洲), 유주(流洲), 생주(生洲), 봉린주(鳳麟洲), 취굴주(聚窟洲) 등이 있다고 한 말을 들었는데, 이 열 개의 주는 인적이 아주 드문 곳이었다.”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5285 중정인의공[中正仁義功] ~ 중주[中州] ~ 중채현주록[衆綵絢朱綠] 5638
5284 중계약훈호[仲季若塤箎] ~ 중과부적[衆寡不敵] ~ 중구난방[衆口難防] 5637
5283 염해[拈解] ~ 염화미소[拈華微笑] ~ 염화시중[拈華示衆] 5630
5282 가교[駕轎] ~ 가규[賈逵] ~ 가급인족[家給人足] 5623
5281 주홍구석[呪虹驅石] ~ 주화모록지[朱華冒綠池] ~ 주환용호[珠還龍戶] 5622
5280 준벽화[皴碧畫] ~ 준순주[逡巡酒] ~ 준우조장[峻宇雕牆] 5622
5279 대연[大衍] ~ 대연수[大衍數] ~ 대연오십[大衍五十] 5617
5278 질전[疾顚] ~ 질지[郅支] ~ 질풍지경초[疾風知勁草] 5610
5277 자서해검오강주[子胥解劍吳江舟] ~ 자설[刺舌] ~ 자성[子成] 5603
5276 지월[指月] ~ 지월양복생[至月陽復生] ~ 지음인[知音人] 5603
5275 주협홀[拄頰笏] ~ 주호은악[周灝殷噩] ~ 주홀간서산[拄笏看西山] 5598
5274 진맹공[陳孟公] ~ 진맹투할[陳孟投轄] ~ 진목공[秦穆公] 5587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