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자황포[柘黃袍] ~ 자휴[恣睢]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001  
♞자황포[柘黃袍] 수 문제(隋文帝)가 처음 입었다는 적황색의 황제 복장이다.
♞자회감[蔗回甘] 진 나라 고개지(顧愷之)가 사탕수수를 씹을 때 항상 꼬리에서부터 씹으면서 “차츰 가경(佳境)으로 들어간다.” 하였다. 고(苦)로부터 차츰 낙으로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자효[慈孝] 자효는 모자(母子)를 가리킨다.
♞자후[子厚] 정재물(鄭載物)의 호(號)이다.
♞자후우[子厚愚] 자후는 당 나라 때의 문인인 유종원(柳宗元)의 자이다. 유종원이 칠석날에 걸교문(乞巧文)을 지으면서 “나는 교(巧)보다 우(愚)를 취하겠다.” 하였다.
♞자휘[字彙] 자전(字典)·사전(辭典)과 같은 것이다. 명(明) 나라 매응조(梅膺祚)가 편찬하였다.
♞자휴[恣睢] 자득하는 모양. 여유있고 방자하다.
 
 



번호 제     목 조회
197 조주[趙州] ~ 조주인[釣周人] 5997
196 번수[樊須] ~ 번승완불사[樊蠅頑不死] 5998
195 이유염매[爾惟鹽梅] ~ 이육[二陸] ~ 이윤성지임[伊尹聖之任] 5998
194 자황포[柘黃袍] ~ 자휴[恣睢] 6002
193 자오[慈烏] ~ 자오반포[慈烏反哺] ~ 자우[子羽] 6004
192 장진응참양졸구[張陣應慚養卒口] ~ 장진주[將進酒] ~ 장차공[張次公] 6008
191 의려[倚廬] ~ 의려지망[依閭之望] 6009
190 장수거지어[莊叟詎知魚] ~ 장수마[莊叟馬] ~ 장수선무[長袖善舞] 6009
189 곽외[郭隗] ~ 곽희[郭熙] 6010
188 자수추망[刺水抽芒] ~ 자승자박[自繩自縛] ~ 자신지[子愼之] 6013
187 진효부[陳孝婦] ~ 진훤[陳暄] ~ 질도[郅都] 6013
186 자장[子長] ~ 자장격지[自將擊之] ~ 자장유[子長遊] 6014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