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장과[莊窠] ~ 장구령[張九齡]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900  
♞장과[莊窠] 장원(莊園)이나 논밭을 말한다.
♞장곽영[場藿詠] 심성이 고결한 사람과의 이별을 슬퍼하는 노래라는 뜻이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백구(白駒)에 “그대의 흰 망아지가 내 밭의 콩싹을 먹었다 하고, 오늘밤 다 가도록 붙잡아 매어두어, 바로 그분이 내 집의 귀빈이 되게 하였으면.[皎皎白駒 食我場藿 縶之維之 以永今夕 所謂伊人 於焉嘉客]”이라는 구절이 있고, 그 말미에 “당신의 목소리 금옥처럼 여기시어, 멀리 떠나려는 마음 갖지를 마오시라.[毋金玉爾音 而有遐心]”라는 구절이 있다.
♞장교비희차비노[長蛟贔屭佽飛怒] 춘추 시대 초(楚) 나라 검사(劍士) 차비(佽飛)가 강을 건널 때 두 마리의 교룡이 배를 습격해 오자, 보검을 빼어 들고 강물 속으로 뛰어들어 교룡의 머리를 베었던 고사이다. <淮南子 道應訓>
♞장구령[張九齡] 당나라 소주(韶州) 곡강(曲江) 사람. 당 현종(唐玄宗) 때의 명재상이며 뛰어난 문장이었다. 자는 자수(子壽)고, 일명 박물(博物)로 불렸다. 진사에 급제했고, 비서성교서랑(秘書省校書郞)에 올랐다. 선천(先天) 원년(712) 도모이려과(道侔伊呂科)에 급제하여 좌습유(左拾遺)가 되고, 좌보궐(左補闕)로 옮겼다. 재상 장열(張說)의 추천을 받아 중서사인(中書舍人)을 거쳐 현종(玄宗) 개원(開元) 21년(733) 중서시랑(中書侍郞)을 거쳐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에 이르렀다. 현상(賢相)이라는 평을 들었다. 24년(736) 이임보(李林甫)의 모함을 받아 재상직에서 물러나고, 외직으로 나가 형주장사(荊州長史)가 되었다. 안록산(安祿山)이 위험인물임을 간파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문장으로 이름이 났고, 작품 감우시(感遇詩)는 시격이 강건(剛健)하여 칭송을 받았다. 저서에 곡강집(曲江集)이 있다.
 
 



번호 제     목 조회
5105 조위구억손[曹衛久抑損] ~ 조율이시[棗栗梨枾] 5911
5104 패합[捭闔] ~ 팽려호[彭蠡湖] 5911
5103 자첨반룡구[子瞻蟠龍句] ~ 자초지종[自初至終] ~ 자추사[子推事] 5911
5102 이소부[離騷賦] ~ 이소원[離騷怨] ~ 이소향초[離騷香草] 5909
5101 자한[子罕] ~ 자항[慈航] 5908
5100 순강실조추[蓴江失早秋] ~ 순갱로회[蓴羹鱸膾] 5906
5099 풍전[豐篆] ~ 풍중와룡[豊中臥龍] 5906
5098 정유격[程遊擊] ~ 정이불박[精而不博] 5905
5097 노생지몽[盧生之夢] ~ 노서[鷺序] ~ 노성승부[魯聖乘桴] 5905
5096 희황[羲皇] ~ 희황인[羲皇人] 5902
5095 장과[莊窠] ~ 장구령[張九齡] 5901
5094 장보[章甫] ~ 장부계[壯夫戒] 5901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