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적송[赤松] ~ 적송자[赤松子]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990  
♞적송[赤松] 적송자. 신농시(神農時)의 우사. 수옥(水玉)을 입었다 한다.
♞적송반[赤松飯] 신선이 먹는 붉은 소나무의 솔씨를 말한다. 유향(劉向)의 열선전(列仙傳)에 “옛날 악전(偓佺)이란 사람은 약을 캐는 사람이었는데 솔씨를 즐겨 먹었더니 몸에 털이 나고 날아다녔으며, 그에게서 솔씨를 얻어먹은 사람들도 모두 3백 살을 살았다.” 하였다.
♞적송유[赤松遊] 적송자는 신선인데 한(漢) 나라 장량(張良)이 “인간 일을 버리고 적송자를 좇아 놀고자 한다.” 하였다. <漢書 張良傳>
♞적송자[赤松子] 상고 시대의 신선 이름으로, 여러 서책에 나오는 사적(事蹟)이 서로 다르다. 적송자(赤誦子), 적자여(赤子輿)라고도 한다. 사기(史記) 유후세가(留侯世家)에 “장량(張良)이 ‘이제 세 치의 혀로써 제왕의 스승이 되어 만호(萬戶)를 봉받고 지위가 열후에 올랐으니, 이는 포의(布衣)의 영광이 극에 이르렀다. 나는 이에 만족할 뿐이고, 다만 원하는 바는 인간의 일을 버리고 적송자(赤松子)를 따라 노는 것이다.’하였다.” 하였다.
♞적송자[赤松子] 적송자(赤誦子)라고도 한다. 좌성남극남악진인(左聖南極南嶽真人) 좌선태허진인(左仙太虛真人)으로 불린다. 진한시대의 전설상의 신선 이름이다. 태평환우기(太平寰宇記)에 ‘적송자는 금화산(金華山)에 살다가 스스로 몸을 태워 신선이 되어 적송간(赤松澗)에서 하늘로 올라갔다’고 했다. 후한이 유향(劉向)이 지은 열선전(列仙傳)에 적송자는 원래 신화상의 염제(炎帝) 신농(神農) 때 사람으로 우사(雨師)였다고 했다. 음식으로 물을 먹고 옥으로 옷을 해 입은 적송자는 신농에게 능히 타오르는 화염 속에서 견디는 방법을 일러주었다. 적송자는 항상 곤륜산 꼭대기로 날아가 서왕모가 사는 석실에서 휴식을 취하면서 바람과 구름을 타고 자유롭게 오르내리곤 했다. 염제에게 어린 딸이 있었는데 일찍이 그를 따라나서서 그녀 역시 선녀가 되어 하늘로 올라갔다고 했다.
 
 



번호 제     목 조회
185 자장[子長] ~ 자장격지[自將擊之] ~ 자장유[子長遊] 5982
184 일몽읍경괴[一夢泣瓊瑰] ~ 일묵도망진일언[一黙都忘盡日言] ~ 일민[逸民] 5983
183 장인사길연희효[丈人師吉演羲爻] ~ 장인유옹불수기[丈人有甕不須機] ~ 장인포옹[丈人抱瓮] 5986
182 일배승지작일원[一倍乘之作一元] ~ 일백팔반[一百八盤] ~ 일번화[一番花] 5987
181 적송[赤松] ~ 적송자[赤松子] 5991
180 지소적[枝掃迹] ~ 지시긍균고[知時矜菌蛄] ~ 지어지앙[池魚之殃] 6002
179 자기야상우두고[紫氣夜上牛斗高] ~ 자기출서관[紫氣出西關] ~ 자니[紫泥] 6006
178 일만팔천세[一萬八千歲] ~ 일망무제[一望無際] ~ 일명경인[一鳴驚人] 6009
177 견지[繭紙] ~ 견호미견호[見虎未見虎] 6014
176 현도[玄都] ~ 현도도수[玄都桃樹] 6015
175 백하[白下] ~ 백하골[柏下骨] 6021
174 가배[嘉俳] ~ 가법홀종금궤변[家法忽從金樻變]~ 가봉료거전[歌鳳鬧車前] 6022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