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조위구억손[曹衛久抑損] ~ 조율이시[棗栗梨枾]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910  
♞조위구억손[曹衛久抑損] 춘추 전국 시대의 약소국인 조(曹) 나라나 위(衛) 나라처럼, 사이에 끼어 괜히 몸을 움츠리는 신세가 되었다는 뜻의 겸사(謙辭)이다.
♞조위우[趙魏優] 공자(孔子)가 이르기를 “맹공작(孟公綽)은 조위(趙魏)의 원로가 되기에 넉넉하다.” 한 데서 온 말인데, 즉 맹공작은 염정 과욕(廉靜寡欲)하여 인망이 높으므로, 대가(大家)의 원로가 되기에 충분하다는 뜻이다. <論語 憲問>
♞조유[曹劉] 위(魏) 나라의 조식(曹植)과 유정(劉楨)을 가리킴인데, 이들은 모두 당대의 문장가로서 독특한 문체를 이루어 조유체(曹劉體)가 생기게 되었다.
♞조유도사[曹劉陶謝] 조류는 삼국(三國) 시대 위(魏) 나라의 재자(才子)인 조식(曹植)과 유정(劉楨)을 말하고, 도사는 진(晉) 나라 때의 고사인 도잠(陶潛)과 남조(南朝) 송(宋) 나라의 사영운(謝靈運)을 말한다.
♞조육[糟肉] 조육은 술과 고기라는 뜻이다.
♞조율이시[棗栗梨枾] 제사에 흔히 쓰는 대추·밤·배·감 등의 과실. 또, 제사의 제물을 진설할 때, 왼쪽부터 대추·밤·배·감의 차례로 차리는 격식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117 팽택공전출[彭澤公田秫] ~ 팽택휴관거[彭澤休官去] 5924
5116 범존초망[凡存楚亡] ~ 범중엄[范仲淹] 5921
5115 죽백[竹柏] ~ 죽부[竹符] ~ 죽사부[竹使符] 5921
5114 번롱[樊籠] ~ 번복수[翻覆手] 5920
5113 습감[習坎] ~ 습씨가[習氏家] 5917
5112 잠저[潛邸] ~ 잠홀[簪笏] 5916
5111 계돈사[雞豚社] ~ 계로여금각희문[季路如今卻喜聞] 5916
5110 연단[鉛丹] ~ 연단경[鍊丹經] ~ 연담노인[蓮潭老人] 5915
5109 각궁가수[角弓嘉樹] ~ 각궁편[角弓篇] 5914
5108 설니홍조[雪泥鴻爪] 5914
5107 자성혜[自成蹊] ~ 자송[自訟] ~ 자수선무[長袖善舞] 5913
5106 좌사[左史] ~ 좌상춘[座上春] 5912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